ETRI, VR 멀미 줄이는 분석 기술 개발
세계 최초 VR 멀미 분석 및 예측 기술, 국제표준특허 확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6일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VR 멀리 정도를 정확히 예측해 이를 줄이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VR 기술이 교육,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지만 VR을 제대로 느끼기 위해 착용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등을 장시간 착용 시 사용자에 따라 멀미나 구토, 어지러움 현상이 나타나 실용화 및 서비스 확산에 걸림돌이었다.
ETRI는 사용자 500명 이상으로부터 실험 데이터를 얻어 기계학습을 적용해 VR 요소들과 VR멀미 간 상관성을 도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VR은 사용자별로 멀미 경험도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해 개인별 특성이 반영된 체험 데이터를 대규모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크다.
연구진이 개발한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인공지능으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엔진 SW다.
본 기술은 개인 휴대형 생체신호 장비와 연동돼 심리·정신 분석을 위한 SW로 헬스케어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메딕션사의 VR 기반 알코올 중독 치료기인 ‘메딕션-S’에 탑재돼 의료기기 허가·심사를 추진 중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인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를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VR 요소들을 실시간 조절도 가능해 간편하게 멀미를 줄일 수 있다.
기존에는 VR 콘텐츠를 개발 시 중간 검증을 반복하며 멀미에 영향을 끼칠만한 요소들을 수작업으로 조정했다. 주관적으로 수정을 해야 하고 시간과 비용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해당 도구는 레벨 1~5까지 정량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게임 개발 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니티(Unity) 게임엔진 프로그램과도 쉽게 호환된다. 이로써 직관적이고 실시간으로 멀미 유발 요소들을 편집할 수 있어 개발 편의성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연구진은 아울러, 체감형 VR 장치에서 VR 멀미도를 분석 및 저감할 수 있는 VR 휴먼팩터 기반 모션데이터 편집 도구도 개발했다. 이 기술은 VR 영상과 사용자 행동 간 정보량 차이를 엔트로피로 해석, 활용하면서 콘텐츠를 자동 조정하거나 편집하면서 멀미를 저감할 수 있다.
ETRI CG/Vision연구실 손욱호 박사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VR 멀미 분석 및 예측 기술을 활용해 고난도 작업 훈련, 정신질환 치료, 의료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로 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TRI는 향후 VR 사용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VR 효과성 측정 및 검증기술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개발한 기술을 해외로 홍보하면서 관련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