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복구굴, 서천 풍동...충남도, 일본식 지명 뿌리 뽑아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 완료보고회…1차연도 6043건 조사완료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에 있는 복구굴은 복구미마을로 보내는 수로인데, 원래 거북바위가 있어서 복구리(伏龜里)라 하였으나 구한말-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복구(伏九)’로 바뀐 것이다.
서천군 시초면 풍정리 마을인 풍동은 신나무(楓)가 많이 있어 ‘신골’, 또는 ‘풍동(楓洞)’이라 하였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풍동(豊洞)’이라 변경됐다.
충남도는 이와 같이 왜곡된 일본식 지명 등을 발굴, 우리 지명으로 복원하는 사업에 속도를 낸다.
도는 14일 도청에서 역사‧지리‧국어 등 분야별 전문가 및 시군 지명업무 담당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일본식 지명 등 조사 연구용역’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일제강점기 시대 만들어진 일본식 지명의 조사정비를 통해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충남 지명 연구에 있어 전통성과 역사성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3개 시군(아산시, 금산‧서천군)의 자연‧인공지명 6043건 중 한자 왜곡·단순화 등 일본식 의심지명 141건 및 도시개발 등으로 변화된 지역 또는 같은 지명이 반복 제정된 폐기·중복지명 381건을 조사했다.
특히, 아직까지 지명이 고시되지 않은 미고시 지명 3889건에 대한 지명유래 전량을 조사하는 등 지명정비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조사를 위해 일제강점기 전‧후 문헌조사는 물론, 이장, 지역원로 인터뷰 등 현지조사를 마쳤으며, 자문검토위원회와 시군 주민 의견 청취를 거쳐 지역 전통과 역사성을 반영, 시군‧도‧국가 지명위원회를 통해 정비대상 지명 등을 심의·의결하게 된다.
도는 내년부터 보령·논산·계룡·와 부여·청양‧홍성군을 중심으로 1만 647건의 지명을 조사해 일본식 지명 등을 파악‧정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지명은 지역 간, 주민 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하는 만큼, 시군과 협업이 중요하다”며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내년에도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