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대학교 2021학년도 등록금 동결·인하 분위기
등록금 인상 시 국가장학금II 지원 못받아...재정 어려움에도 울며 겨자먹기로 동결 여전한 비대면 수업 가능성에 학생들 “등록금 인하해야 한다” 주장도
대전지역 대학교들이 2021학년도 등록금 동결 혹은 인하를 결정하고 있다.
21일 대전권 주요 대학들에 따르면 국립대인 충남대와 한밭대가 각각 동결과 인하를 결정했고 사립대인 대전대·우송대·목원대·배재대·도 동결쪽으로 가닥을 잡고 등록금 심의를 진행 중이거나 동결을 결정했다.
먼저 한밭대가 지난달 31일 지역 대학 중 가장 먼저 등록금심의위원회를 통해 학부등록금을 0.47% 인하하고, 대학원 등록금은 동결하기로 했다.
충남대도 지난 12일 등심위를 열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 학부 등록금을 동결키로 결정했다. 충남대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등록금을 인하·동결해왔다.
지역 사립대들도 각각 등심위를 진행·계획하고 있지만 등록금을 동결하는 분위기다. 대전대는 최근 등심위를 진행하고 등록금 인하를 결정했으며 한남대 21일 오전 등심위를 통해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최종 의결했다.
배재대도 이날 등록금 동결을 결정했다. 배재대는 2012년부터 10년 연속 인하·동결하고 있다. 입학금은 전년보다 20% 인하하기로 했다.
우송대는 동결 쪽으로 가닥을 잡은 모양새로 이달 중 등록금 동결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목원대는 오는 28일 1차 등록금 심의위원회를 열고 등록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같이 대학들이 재정 어려움 목소리 속에서도 울며 겨자먹기로 등록금을 동결 혹은 인하를 결정하는 데는 교육부가 등록금을 인상하는 대학들에 대해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없게끔 하는 정책을 유지했기 떄문이다.
교육부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대학 등록금 인상 법정 한도로 1.2% 상한선을 정해놨지만, 등록금 인상 대학에 대해 연간 4000억 원에 이르는 국가장학금II 유형을 받지 못하게 제한했다. 사실상 동결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으로 등록금 환불 주장과 실제 반환하는 사례가 나오면서 인상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대전 A 사립대학 관계자는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국가장학금 등의 재정지원은 물론 학생들 반발도 커질 것”이라며 “지난해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등록금 환불 요구가 거셌던 만큼 등록금 인상은 그림의 떡”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간에선 대학이 올해 등록금을 동결이 아닌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 상황이 올해도 이어지면서 비대면 수업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