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정 대전시장 "기상청 등 4개 기관 이전 추진 중"
기상산업기술원·임업진흥원·에너지기술평가원, 대전 이전 가닥 대전시, 중기부 등가성 확보엔 '글쎄' "혁신도시 시즌2 불이익 없을 것"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세종시 이전에 따른 대안으로 대전시에 기상청을 비롯해 한국기상산업기술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 이들 기관은 모두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정세균 국무총리가 기상청을 포함한 플러스 알파 기관을 검토·지시했고 상당 부분 진척된 것이 사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허 시장은 “개별 기관과 접촉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총리실에서 최종 확정이 되지 않은 만큼 매우 조심스럽다“며 ”마지막까지 긴장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해당 사안은 조만간 국무조정실 실무회의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이며 이전 시점과 기관들이 들어설 공간도 서서히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기부 규모와의 등가성 확보에 대해선 물음표가 찍히고 있다. 대전시민들이 과연 납득할 만한 결과물인지, 이들 기관이 대전시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란 여론이 지배적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선 이와 관련한 질의가 쏟아졌다.
이에 대해 허 시장은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예전에도 대전 이전을 논의했다가 중단된 바 있어 자연스럽게 필요성이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임업진흥원도 산람청이 대전정부청사에 있고 한국산림복지진흥원도 내려와 있어 산림청 중심의 탄소중립화운동과 임업 클러스터 조성에 유리하다“며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대덕특구에 연계 가능한 산·학기관이 많은 데다, 1조 원의 예산이 넘는 막대한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이어서 시너지 효과가 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전에 더 큰 기관이 오면 좋겠지만 기상청과 3개 기관이 추가적으로 이전한다고 하면 단기간 내 이뤄진 성과로서는 많은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허 시장은 이번 공공기관 이전과 향후 진행될 혁신도시 시즌2 관련 공공기관 이전과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못을 박았다.
그동안 일각에서 제기된 중기부 이전-혁신도시 ‘빅딜설’ 논란을 불식시키면서 총리실의 청사 재배치는 중기부 이전에 따른 조치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허 시장은 “정 총리는 ‘혁신도시 관련 공공기관 이전시 대전이 불이익을 받는 일은 없다’고 했다”며 “그 부분은 전혀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