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13세 아들 대치동 세대주 등록 "위장전입 아니다"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서 고시생 폭행 논란 등 적극 해명 고시생모임 의혹 질의에 "아들 등굣길에도 피켓들고 나타나" 검찰 개혁 대해선 "인권보호와 적법절차, 사법시스템" 강조

2021-01-25     김거수 기자

박범계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신을 둘러싼 논란을 적극 해명했다.

고시생 폭행, 측근관련 의혹, 재산관련 논란 등에 대한 야당의 공세에 대해 불가피했던 당시 상황을 설명하며 ‘철벽방어’한 것.

박범계

박 의원은 이날 사법시험 존치를 위한 고시생모임 회원 폭행 의혹과 관련 자신이 어려움을 겪었다고 피력했다.

그는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의 관련 질의를 들은 뒤 “제가 없는 대전집 아파트에 아내 혼자 있는데 밤에 초인종이 울려 확인하니 사시존치를 주장하는 5-6명이었다고 한다”며 “어마어마하게 놀랐다”고 했다.

박 의원은 또 서대전고등학교에 다니는 고등학교 아들의 등굣길에도 고시생 모임 회원들이 피켓을 들고 나타났다고 했다.

박 후보자는 “사시존치를 준비하시는 분들 보면 가슴이 아프지만 기존 사시제도보다는 로스쿨을 도입하는 게 좋겠다는 정책적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당시 13세 였던 아들을 서울 대치동 아파트의 세대주로 등록했던 일 등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박 의원은 국민의힘 조수진 의원의 아들 아파트 세대주 등록 관련 질의에 대해 “졸업이 40일 남은 상황에서 전세기간이 남아 불가피하게 주소를 남겨놓은 것으로, 위장전입은 아니다”라고 했다.

박범계

대전지역 정치권을 달궜던 박 후보자 측근 비리 관련 공방도 이어졌다. 야당은 최측근의 뇌물 방조 부인 논란으로 공세를 폈고, 박 후보자는 ‘무혐의’ 판결을 고리로 맞받아쳤다.

박 후보자는 2018년 지방선거 당시 공천헌금 논란에 대한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의 질의에 대해 “4월 11일 이후 돈과 관련된 얘기를 들은 바 없다. 더 이상 관여할 수 없는, 알지 못해 묵인방조로 볼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있다”고 했다.

청문회에서는 검찰개혁 등에 대한 박 후보자의 정책적 견해 피력도 있었다.

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문재인 정부의 마무리 투수로서 검찰개혁을 위한 제도를 안착시키고 조직문화를 개선하며 법무행정을 혁신하는 길에 매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인권 보호와 적법 절차, 그리고 사법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정착되게 하는 일, 그것이 검찰개혁의 완수이고 제 소명”이라고 강조했다.

아동 학대 방지대책과 관련해선 박 후보자는 “법무부에 아동인권보호기구를 구성해 아동 인권 보호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