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3월부터 학대아동 즉각 분리 추진"

시,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 대책 발표 각급 자치구 아동학대전담공무원 추가 등 추진

2021-02-08     성희제 기자
대전시청사

대전지역 각급 자치구에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이 추가로 배치된다. 또 아동학대 대응인력간 상시 연락체계가 구축된다.

대전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 대책’을 8일 발표했다.

시가 제시한 종합대책은 5개 분야 16개 시책으로 구성됐다. 아동학대 대응 인력 조기 배치, 전문성 강화, 즉각 분리제도 시행 등을 골자로 한다.

시는 우선 아동학대 전담 인력의 조기 확충 및 기관별 협업 강화에 나선다. 5개구에 아동학대전담공무원 15명을 추가로 조기 배치할 계획이다.

또 수시로 아동학대 방치를 위한 협의체 실무회의를 진행하고, 아동학대 대응인력 간 상시 연착체계를 구축해 아동학대 예방의 내실화를 기한다.

오는 3월부터는 즉각 분리제도도 시행된다. 시는 현재 4곳인 학대피해아동쉼터를 올해안에 2곳 더 확충해, 학대 아동의 분리보호 시설 기반을 확충한다.

특히 시는 현재 운영 중인 아동양육시설(10개소) 중에서 피해아동을 즉각분리 수용할 수 있는 일시보호 시설을 2개소 선정하여 해당 시설을 지원함과 동시에 학대피해아동과 가해자의 치료와 교육을 수행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2개소)을 1개소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학대피해아동 발생 시 응급 대응과 전문적인 사후 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전시는 대형병원과 업무 협약을 맺어, 학대피해아동 전담의료기관 지정 병원을 추진한다.

이현미 시 국장은 “이번 종합대책으로 우리 모두가 아동권리 헌장에 담긴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고 밝게 자랄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기준 대전시 아동학대 의심 신고 1534건 중 1261건이 아동학대 혐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890건에 비하면 약 41%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