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 암 발생 통한 섭식장애 원인 규명
암세포서 분비 물질 ‘식욕조절 호르몬’ 조절 현상 규명
암 발생에 의한 섭식장애 원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유권·이규선 박사 연구팀이 KAIST 서재명 교수, 서울아산병원 김송철 교수팀과 함께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특정 단백질이 뇌신경세포의 특정 수용체를 통해 식용조절 호르몬을 조절하는 기전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암의 진행에 따라서 종양조직과 암세포에서는 다양한 암 분비인자(tumorkine)와 염증유도인자(cytokine)를 분비해 정상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서, 암환자의 합병증 유도와 생존율 감소에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 환자의 대표적 합병증인 암 악액질 증후군(cancer cachexia- anorxia syndrome)은 심각한 섭식장애와 지속적인 체중감소 현상을 동반하며, 암환자 생존율과 항암치료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환자 섭식장애의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초파리 암 모델과 RNA 전사체 분석을 통해 암 세포에서 유래된 특정 단백질(Dilp8 펩타이드)의 발현과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했다.
또 뇌신경세포의 수용체(Lgr3)를 통해 식욕조절에 관여하는 신경펩타이드 호르몬의 발현을 변화시켜서 초파리 암 모델에서 섭식장애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KAIST 서재명 교수팀 은 마우스 암 모델에서도 특정 단백질(Dilp8 펩타이드)과 상동인자인 INSL3이 현저하게 증가되어 섭식장애를 유발하며, 특히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INSL3)을 마우스 뇌에 직접 주입할 경우에 먹이 섭취량과 체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 김송철 교수팀은 악액질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연관성 연구를 실시한 결과, 섭식장애가 나타난 췌장암 환자에서 해당 단백질(INSL3)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사실은 암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INSL3)이 뇌신경계의 식욕 조절에 관여하는 신경세포에 작용하여 암 환자의 식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는 곧 암 분비 물질인 해당 단백질(INSL3)이 암환자 섭식장애를 유도하는 중요한 신호인자로 작용함을 규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 유권 박사는 “새로이 규명된 단백질(INSL3)의 진단과 조절을 통해 암환자의 섭식장애와 섭식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 전략이 개발된다면 암환자의 효율적인 항암치료 보조제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 대상으로 섭식조절을 통한 대사 불균형을 해소 할 수 있는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새로운 치료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다양한 신약이 개발되고 있는 항암제 시장과는 다르게, 암환자 악액질 개선을 위한 의학적 수요는 매우 큰 반면, 치료제 개발 사례는 아직까지 전무한 상황으로 암 병용치료에 새로운 신약시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