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벨트 입지 공모 가능성에 열 받은 대전.충남
충청권 단체장, 정당, 시민단체 등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촉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공모선정 가능성에 대한 대전.충남지역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7일 "지난 국회에서 '충청권 입지'를 쏙 뺀 채 '과학벨트 특별법'을 통과,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입지 선정을 빠르게 진행하겠다'고 밝혀 공모 가능성을 강하게 내비친 데 이어 지난 6일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이 '지금은 공약에 얽매여서는 안될 것 같다'는 견해를 밝힌 것은 '충청권 대선공약을 파기하고 입지선정 공모'라는 우려감을 더욱 확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또, "과학벨트 조성과 관련, 정부가 세종시와 마찬가지로 또다시 불필요한 갈등과 소모적인 국력낭비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닌가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충청권 시도 지사 및 500만 대전.충청인과 함께 국제과학벨트 충청권 조성 관철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우리도는 대한민국이 과학기술의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과학벨트의 최적지는 행정.연구개발.생산.비즈니스 기능을 갖춘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이라 확신한다" 며 "500만 충청인과 함께 충청권 3개 시.도는 정부가 대통령 공약인 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을 번복하고 특정지역에 편중하려는 의도에 대해 결코 좌시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충남도당도 성명서를 통해 "청와대 과학기술비서관이 지난 6일 '전국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선정 기준이나 항목에 따라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은 이명박 정권이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공약을 이행할 의지가 없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며 "공약 파기는 제2의 대 국민 사기극"이라고 주장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도 논평에서 "과학벨트는 대통령이 2007년 대선국면에서 충청권 입지를 약속했던 사업"이라며 "거센 저항에 직면했던 세종시 수정논란에 이어 또다시 충청권 핵심공약인 과학벨트 사업마저 백지화한다면 지역민이 느낄 우려와 배신감은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세종시 수정논란처럼 대통령 본인의 어떠한 해명이나 입장표명 없이 핵심 공약사업의 하나인 과학벨트 사업마저 주변 측근들의 백지화 불 지피기 발언에 이어 백지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처사로 지탄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충청권의 시민단체 등 은 "충청권 정치권은 물론, 3개 시도지사와 지방의회는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무산 위기에 대한 엄중하고도 신속한 공동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대정부 투쟁도 불사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