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충청권 조성'위한 공동대응

충청권 3개 시.도지사 과학벨트 충청권 추진협의회 발대식 개최

2011-01-17     강청자 기자

충청권 광역·기초단제장과 국회의원, 광역의회 의장 등 정재계 인사들이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충청권입지 사수를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했다.

염홍철 대전광역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충청권 국회의원 및 시‧도 의회의장, 세종시 인근 기초자치단체장‧의회의장, 3개시‧도의 정치, 경제, 과학기술, 시민단체, 발전연구원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7일 충북도청 대회의실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충청권 추진협의회' 발대식을 개최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 특별법에 충청권 입지가 명시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많은 혼란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충청권 추진협의회를 구성해 발대식을 개최한 것은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대선 공약사항인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를 반드시 사수하겠다는 충청인의 굳은 의지를 표명하기 위한 것이다.

충청권 발전연구원에서 과학벨트 입지선정요건 평가지표 마련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 공동포럼 개최를 통한 여론 조성 등 과학벨트의 충청권 입지 사수를 위해 공동대응해 나갈 계획으로 있다.

염 시장 등 광역지자체장 3명은 공동위원장, 지역국회의원들은 고문역할, 세종시 주변 기초지자체장 등은 자문위원, 시·도별 재계·시민사회단체 인사 10명씩 33명은 당연직 위원을 각각 맡기로 했다.

이와같이 협의회를 구성한 추진위원 68명은 정기적인 만남을 통해 과학벨트입지선정 등에 관한 추진상황을 점검, 공동연구·공동포럼 등을 추진하고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홍보하는 역할을 주도하게 된다.

협의회는 이날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선 당시 '세종시, 대덕연구개발특구단지, 오송·오창 BT·IT단지를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한국판 실리콘밸리를 육성하겠다'고 공약했던 충청권 핵심공약인만큼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 며 "정치적 논리나 다른 요인들에 의해 이 사업이 뒤로밀려난다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충청권 3개 시도 광역의회의장단과 기초의회 의장협의회장 등은 이에 앞서 같은 날 오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입지선정 백지화 시도에 대한 규탄 성명'을 발표하는 등 충청권 과학벨트 입지에 힘을 보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