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소자 적용 가능한 이차전지 개발기술 실마리
고려대 조진한·미 조지아텍 이승우 교수 연구팀...알루미늄 직물 기반 고성능 이차전지 전극 개발
웨어러블 소자에 적용 가능한 이차전지 개발기술 실마리가 풀렸다.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조진한 교수와 미국 조지아텍 이승우 교수 연구팀이 직물 소재에 금속 나노입자 코팅과 알루미늄 전기도금으로 고전도성 전극을 제조했다고 16일 밝혔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배터리의 음극재와 양극재는 최근 많은 기공을 가진 전도성 직물 위에 코팅해 단위면적당 더 많은 에너지 물질을 도입,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직물 내부까지 전도성 물질을 균일하게 코팅하기 어렵고 특히 알루미늄 직물은 그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보고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넓은 표면적을 갖는 금속 직물은 배터리 전극 외에 다양한 에너지 및 센서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어 중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배터리 전극용 고전도성 금속직물 제조를 위해, 폴리에스터 섬유 위에 금속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도포했다.
이어 널리 사용되는 전기도금 방식을 통해, 금속 직물을 손쉽게 구현했다. 그 결과 직물의 전기전도도 및 코팅의 균일도 및 기계적 유연성 등이 향상됐다.
연구팀은 나아가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의 교대 코팅을 통해 높은 단위면적당 에너지 밀도와 빠른 충·방전 속도를 얻었다.
또 배터리 양극재로 쓰이는 리튬인산철을 30nm 크기로 매우 균일하게 유기용매에 손쉽게 분산되도록 합성했다.
연구팀이 이를 활용해 금속 직물 내부 깊숙이 스며들도록 유도하자 단위면적당 에너지 밀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연구팀은 향후 실용화를 위해서는 경제적인 금속직물 제조공정과 금속 나노입자 적층시간 단축방안, 그리고 고성능 직물전극 제조방안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응용물리 분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리뷰(Applied Physics Review)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