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마케팅공사, MICE업계 회생 위한 정부 대책완화 시급
MICE업계 매출격감 및 고사위기,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완화 검토해야
대전마케팅공사(사장 고경곤)는 작년부터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국제회의, 전시회, 인센티브 등 MICE 분야의 행사가 격감하면서 업계가 고사위기에 처해 있어 MICE업계 회생을 위한 정부 대책완화가 시급하다고 18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는 2020년 2~5월, 8~10월, 12월~2021년 2월까지 3번에 걸쳐서 8개월간 중지됐고, 국제회의도 예정되었던 행사의 약 80%가 취소됐다. 이로 인해 국내 업계가 입은 약 5조원의 매출손실과 일자리 감소로 인해 산업 생태계마저 위협받는 실정이다.
전시회, 국제회의 등 MICE분야는 기업은 물론 관련 서비스 업체들의 필수적인 경제활동이자 중요한 팔로확보의 수단으로써 그 중요성이 높으며, 여행, 관광,숙박, 운송, 식음, 용역, 장치, 디자인 등 연관된 분야가 넓어 사회경제적 영향이 매우 크다.
정부는 지난 3월 5일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 방침을 4단계로 조정하면서 전시박람회에 대하여 ▷1단계 6㎡당 1명 ▷2/3/4단계 8㎡당 1명을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작년 11월부터 적용된 기준에서 훨씬 강화된 조치로 가뜩이나 어려운 MICE업계를 감안하지 못한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전시산업진흥회, 한국MICE협회, 한국전시주최자협회 등 MICE 관련 협회, 단체들은 고사 직전의 상태인 업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정부에 건의문을 제출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적극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경곤 사장은 “전시회와 국제회의 등 MICE 행사에서는 지금까지 단 한건의 감염사례가 없었고 방역당국으로부터 수차례 우수 방역사례로 뽑힐 정도로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고사 위기에 처한 MICE업계를 회생시킬 수 있는 골드타임을 놓쳐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