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국가 정책 반영한 환경교육 시책 찾는다

2021-03-23     김윤아 기자

충남도가 ‘환경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미래’ 실현을 위해 제3차 충청남도 환경교육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도는 23일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에서 ‘제3차 충청남도 환경교육 종합계획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및 충남지역환경교육센터 정기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새로운 국가 환경교육과 연계하고 환경교육도시 지정(2020~2023)결과를 반영한 지역실적에 부합하도록 수립해 오는 9월 마무리할 예정이다.

앞서 도는 환경교육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정책 및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환경부 주관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는 성과를 이뤘다.

주요시책으로는 전국 최초로 도 공무원 환경교육 의무화를 법제화해 시행 첫 해인 지난해 소속 공무원 74%가 이수하여 기후변화, 생태환경 등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전국 31개 기초단위 지역환경교육센터(이하 ‘센터’) 중 10개에 달하는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기초단위 센터에 사업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2년까지 전 시군에 센터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가칭)기후환경연수원’ 조성을 위한 국비를 확보해 2024년 개관 목표로 추진 중이며 ‘찾아가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과 같은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는 등 대한민국의 환경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전국 최초로 도 공무원 환경교육 의무화를 법제화하고,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기초단위 지역환경교육센터에 사업 예산을 지원하는 등 선도적인 환경교육 정책을 펼쳐온 도는 지난해 환경부로부터 그 성과를 인정받아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된 바 있다”며 “현재와 미래를 반영한 환경교육 기반을 만들어 환경시민을 양성하고 환경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