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선출직 '꼬리무는' 투기 의혹
공직자 재산 공개 결과 개발예정지 인근 부동산 매입 빈번 LH발 부동산 투기 논란 맞물려 지방의원 도덕성 등 흠집
2021년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내역 공개의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LH발 부동산 투기 논란이 거센 가운데 대전·충청지역 일부 선출직의 재산내역에서 미심쩍은 정황이 포착되며 투기 의도가 있었는지에 관심이 쏠린다.
대전·세종·충남지역 고위공직자 및 선출직의 재산내역을 분석한 결과, 개발예정지 인근 토지매입 등으로 투기 의심정황이 포착된 경우는 10건에 육박했다.
대전에선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A대전시의원이 산업단지 조성 예정지 인근 토지매입으로 개인 의도와 무관하게 투기 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샀다.
A시의원은 지난해 6월 임의경매에서 충북 청주시 현도면 인근 논을 구입했는데, 이 토지 근방에서는 남청주 현도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추진 중이다.
충청권 부동산 시장의 ‘핫플레이스’인 세종시에선 대규모 개발사업 인근 토지를 매입한 정황이 다수 포착됐다.
특히 5명의 시의원들은 스마트산단 등 사업지구 인근 토지를 최근까지 매입해 땅투기 논란의 직격탄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민주당 소속 세종시의원 3명은 연서면 스마트국가산단 예정지 인근 토지를 소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B시의원은 산단 사업 발표 1년여 전인 2017년 일원 신대리 294일대 660㎡를 매입했다. 이 땅은 매입 당시보다 땅값이 43%(공시지가 기준)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연서면 지역구의 C의원은 본인과 부친 명의로 산단 사업 대상지 인근 야산을 보유 중이며, D 의원은 지난 2012년 쌍류리 일대 토지를 매매했다.
특히 C 의원이 경우 LH에서 오는 2027년까지 추진하는 오송국가산업단지 인근 토지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E의원은 4000여 억원이 예산이 투입되는 부강역-북대전IC 연결도로 인접 토지를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매입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F의원은 서울-세종 고속도로 나들목 신설 가능성이 있는 장군면 송문리에 단톡주택 등을 매입했다.
충남의 경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충남도의회 G의원은 배우자 명의로 서산의 도시개발사업 대상 부지 포함 가능성이 높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G의원 배우자 소유 토지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도시개발사업은 지난 2011년부터 추진됐으며, 매입은 2015-2016년 사이에 잇따라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