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보행자 중심 교통사업 1242억 쏟는다

사망자 Zero 등 10대 과제, 20개 사업에 집중 투입 방호울타리 및 횡단보도 집중조명 등 교통안전 인프라 확대 원도심 보행특구 조성에 800억

2021-03-29     김용우 기자
허태정

대전시가 사람·보행자 중심 교통정책 사업에 1242억 원을 쏟는다. 이 예산은 사망자 Zero 등 보행안전 제일도시 조성을 위한 10대 과제, 20개 사업에 투입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9일 시정브리핑에서 이를 포함한 보행자 중심 교통정책을 발표했다.

먼저 오는 4월 17일부터 도시부 도로의 제한속도를 시속 50㎞ 이내로 하향하는 ‘안전속도 5030’의 전국시행에 맞춰 대전시 전역에도 적용된다.

이에 따라 주거·상업·공업지역의 넓은 시내도로는 시속 50㎞, 주택가 이면도로와 어린이보호구역 등 보행자 안전이 강조되는 도로는 시속 30㎞로 제한된다. 다만, 시속 70~80㎞로 대전으로 진입하는 도로 등 일부 6개 도로는 원활한 교통소통 확보를 위해 시속 60㎞로 유지된다.

시의 향후 교통정책 추진 내용을 살펴보면 중앙차선 무단횡단 방지 펜스(68개소)와 보행자 방호울타리(35개소)를 비롯해 교차로 조명탑(71기), 횡단보도 집중조명(780개)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사망자 Zero 및 야간 조도개선 등 5개 사업에 128억 원을 책정했다.

또 보행안전 강화 6개 사업에 120억 원, 첨단 미래교통 C-ITS에 150억 원을 들여 교통약자 안전대책과 보행자 출동방지 경고 서비스 등을 지원한다.

중구 및 동구 원도심 보행특구 조성을 위해선 800억 원이 투입된다. 문화가치가 있는 지역을 위주로 걷기 좋은 거리를 조성하는 데 쓰인다. 이와 함께 원도심문화예술 핫 플레이스를 선정해 점심시간의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고 걷기 명소를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타슈 시즌2를 통한 교통문화운동도 전개하는 한편 개인형이동장치(PM) 주차존도 마련된다.

시는 이를 위해 보행과 자전거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보행교통 개선계획 연구용역을 통해 보행교통 활성화 추진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4월 한 달간은‘안전속도 5030’대시민 홍보에 주력한다. 시민공감대를 형성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 거리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허태정 시장은 “내 가족과 이웃의 안전을 위한 안전속도 5030에 시민들의 동참을 당부드린다”며 “보행자 안전을 위한 다양한 교통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