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열병합 LNG 증설...지역민 반발 기류 확산

2021-04-02     김용우 기자
대전시청

대전열병합발전㈜이 복합화력발전소(LNG) 증설을 추진 중인 가운데 지역민들의 집단 반발 기류가 확산하고 있다.

2일 대전시 등에 따르면 대전열병합발전은 집단에너지사업 변경사업계획서를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에 제출했다.

대덕구 신일동에 기존 113MW(메가와트)급 증기터빈발전에서 495MW급 대규모 가스복합화력발전으로 변경하는 게 주요 골자다.

이 업체의 증설 용량은 LH대전에너지사업단이 운영하는 대전 서남부 열병합발전소(47.4MW급)를 10개 이상 짓는 규모다.

대전열병합발전은 벙커C유 관련 시설과 노후화된 시설이 환경 친화적인 고효율 설비로 교체되면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줄어든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대덕구, 유성구 주민들은 미세먼지 발생에 대한 불안감을 표출하며 집단 움직임에 나섰다.

인근 주민 100여명이 LNG발전 증설반대투쟁위원회를 구성한데 이어 유성구 일부 주민자치위원장들도 유성구에 LNG발전 증설 반대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반대투쟁이 한창이다.

또 대전시 홈페이지 열린시장실 ‘시장에게 바란다’ 게시판에는 LNG발전 증설 반대 의견이 현재 500여 건을 넘어섰다. 이와 함께 대전시청 및 지역 곳곳에 반대 현수막을 내걸며 강력한 반대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도 대규모 발전시설이 도심 한복판에 들어올 경우 시민들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대전열병합발전에 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은 1일 성명을 통해 "LNG는 석탄화력에 비해 오염물질이 적다는 것이지, 오염물질이 없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벙커C유는 기존 시설이 수명이 끝나면 법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사용해서도 안 돼 이 논의와는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설을 변경한다고 대기오염물질이 줄어들지도 않는다"며 "황산화물만 줄어들 뿐 질산화물과 먼지는 증가한다"며 "495MW급으로 증설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도 기존 시설에 비해 5~10배 정도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끝으로 “산자부는 탄소 중립이라는 취지에 맞게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고려해 사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며 “기후위기와 미세먼지는 시민들의 생존을 압박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대전시는 오는 9일 산자부에 발전소 증설 관련 의견 제출을 앞두고 있다.

위법사항은 없지만 시민들의 거센 반발 여론에 고심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대전시가 '주민 반대가 심하다'는 의견을 전달할 경우 사업 추진 여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 대전에서 LNG 발전소뿐만 아니라 수소연료전지발전사업 등 관련 사업이 추진 도중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된 사례가 있다.

앞서 대전시는 지난 2019년 서구 평촌산업단지 내 LNG 발전소 건설계획을 발표했다가 지역민과 시민들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는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결국 철회했다.

같은 해 LH 등이 탈원전 정책 일환으로 유성 도안지구와 대덕구 연축동에 수소연료전지발전시설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집단 반발로 모두 물거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