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리 대학촌 전원마을로 조성하라’
조치원읍 신안리 대규모 고층아파트 건설계획 ‘난항’
주민들‘조망권침해 심각’반발
전원마을 건설 바람직

▲ 주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
강수돌 고려대 교수
“R 시행사가 지난해 4월부터 신안리 414-5외 67필지를 매입하고 무려 41m 높이의 15층짜리 15개동을 건설한다니 이게 말이나 됩니까.”
신안리 주민대책위원회 공동대표 강수돌 고려대 교수의 말이다. 강 교수는 “학생들을 가르치며 조용히 공부하겠다고 자리잡은 삶의 터전에 1천여세대가 넘는 초고층아파트가 들어선다니 요즘 몸과 마음이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며 “이런 난개발보다는 ‘선계획 후개발’이라는 국정지표에 맞게 행정도시건설 관련, 도나 군 단위의 ‘마스터플랜’을 다시 세운 뒤 기존마을에 모범이 될 친환경적 전원마을이 건설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각계 여론에 진정서 제출 ‘건립 막겠다’
강 교수가 사는 조치원읍 신안리지역은 당초 군에서 수십억원의 용역비를 들여 대학촌으로 발전시키려 했던 곳. 하지만 기업들의 경제성 논리와 땅값 상승을 노리는 일부 주민들의 기대가 겹쳐지며 전원풍의 마을이 고층아파트 숲으로 변하게 생겼다.
이 상황을 보다 못한 강 교수는 지난 3월 설문조사를 통해 마을주민 1,200여세대 중 84%가 아파트건립에 반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반대운동에 나섰다.
그는 연기군청과 충남도청을 찾아 1인 시위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사업대상 부지 지정과 교통영향평가 등에 많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지금 조치원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행정도시 건설에 편승한 난개발의 전조”라며 “난개발을 막아야 할 관청이 오히려 조장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고층아파트 대신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저층 전원아파트나 생태마을을 만드는 것이 미래를 위해 좋은 방안이라며 대안도 제시했다.
강수돌 교수는 끝으로 “이 지역 주민들의 조망권·일조권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개발계획시 주민설명회 및 공청회를 의무화함으로써 주민갈등이나 사회적비용을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면서 “모든 주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가 있기에 대학촌 생태마을로 조성되지 않는다면 청와대 등 각계기관에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고층아파트 건립을 막겠다”고 굳은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