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 부실 운영 질타

예산 10억중 인건비 7억5천 사업비 1억원 정도 밖에 안돼

2011-02-14     김거수 기자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사무총장 권오창)가 지역의 새로운 과제 발굴보다는 중앙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을 가지고 회의을 진행해 부실 운영이라는 위원들의 질책이 쏟아졌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광역경제권 창조와 특성화된 충청권 발전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2009년 출범한 ‘충청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2011년 첫 회의가 14일 오후 충남도청 영상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회의는 염홍철 대전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진옥 대전테크노파크원장,이창기 대전발전연구원장,박진도 충남발전연구원장,장원철 충남테크노파크원장,유환준 충남도의회 부의장, 황웅상 대전시의회 행정자치 위원장 등 위원 14명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안희정 충청남도지사는  “21세기는 지역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고 있고 광역화를 통해 특성화된 연계․협력사업 발굴, 지역현안에 대한 공동대처 등 각 권역의 이익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있다”며 “우리 충청권에서도 3개 시․도가 역사와 문화를 공유해 온 단일 경제권이 갖는 장점을 극대화함으로써 지역의 상생발전 모델이 되도록 연계․협력하여 나가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충청권광역(위) ‘2011년도 업무계획보고를 청취한 후, ‘2010회계연도 결산(안)’,‘2011 회계연도 예산(안)’, ‘2011 광역 시행계획(안)’ 順으로 심의․의결했다.

안건심사에 앞서 충청광역위 권오창 사무총장은 2011년도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충청권광역위 출범 이후, 다져 온 업무역량을 바탕으로 광역경제권발전계획 및 시행계획에 따라 있는 역량을 결집 해 “첨단과학기술을 통한 국가 신 성장 동력을 선도하는 충청권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예산 10억원중 인건비 7억5천여만을 제외하고 나면 사업비는 1억원정도 밖에 안돼 부실한 위원회 운영이란 지적을 받았다.

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은 회의에서 위원회가 당초 목적과 달리 국가 사무를 홍보하는 것 처럼 보인다며  향후 어떤 국책 과제와 지역의 성장동력을 같이 협력할 것인지를 위원회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면서 회의운영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했다

또한 2011년도에는 ▲충청권 경제. 사회적 정책과제에 대한 세미나, 포럼 개최 ▲충청광역권 연계 협력사업 발굴 ▲ 충청광역경제권 고위 정책협의회 구성. 운영 ▲ 광역, 기초 자치단체와의 협력 및 소통채널 구축 ▲충청광역권 발전 관련 대학(원)생 아이디어공모 ▲충청광역경제권 온라인 정책 포럼 운영 ▲소식지 발간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해 실질적인 지역 발전정책을 추진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충청권 창조의 구심적 역할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충청권광역위는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경쟁력 있는 지역을 창조하고자 전국을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경권, 동남권, 강원권, 제주권 등 5+2 광역경제권으로 설정함에 따라 대전·충북·충남으로 구성된 인구 500만의 충청광역경제권의 발전업무를 추진하기 위해 2009년 9월 21일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