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덕특구 재창조사업 본격화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 확정
대전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의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이 지난달 30일 과학기술관계장관 회의에서 확정됨에 따라, 사업추진에 탄력을 받게 되었다고 3일 밝혔다.
1973년에 조성돼 오는 2023년 출범 50주년을 맞이한 대덕특구는 그동안 우수한 연구성과와 기술사업화 등을 통해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해 왔으나, 4차 산업혁명·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가기에는 혁신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대전시, 대학, 연구기관, 기업, 시민 등 특구 구성원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한국판 뉴딜을 실현하는 국가 중추기관으로서 대덕특구를 재창조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지난해부터 마련해 왔다.
이번에 확정된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비전으로, ▲연구·인재 ▲사업화·창업 ▲기업·산업 ▲도시·인프라 등 4대 전략분야 8개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된다.
과기정통부와 대전시는 대덕특구를 세계적 융합연구·창의 인재의 허브이자, 규제에서 자유로운 기술창업 전진기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 인프라와 교통·에너지 혁신을 통한 과학문화 기반 친환경 스마트 도시로 탈바꿈해서 국가 혁신성장과 신산업의 중심지로 성장시킬 예정이다.
대전시는 지역사회 중심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대덕특구 재창조 거버넌스(가칭 대덕특구 글로벌혁신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구축․운영하고, 국정 과제화 등 실행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또한, 대덕특구 재창조 붐 조성을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추진 중인 테마형 스마트시티 조성 등 지역 중심의 선도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허태정 시장은 “대덕특구가 지난 50년간 국가 중심으로 추진됐지만, 앞으로 50년은 대전시가 혁신성장을 이끄는 지역주도 국가성장의 선도 모델을 만들겠다”며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역혁신의 역량 결집하고 범 정부차원의 적극적 협업을 만들어 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