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나무 사건 연루' 대전시 감사위원장 사의
징계 앞둔 이성규 감사위원장 전보 신청...사실상 자진사퇴 市, 후임 감사위원장 공모 돌입
대전시가 3개월 만에 감사위원장(개방형·3급상당) 교체 작업에 돌입했다.
20일 시에 따르면 옛 충남도청사 부지 내 리모델링 사업, 이른바 ‘향나무 사건’ 당시 담당 국장을 역임했던 이성규 현 감사위원장이 최근 전보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시 인사혁신담당관실은 지난 17일 후임 감사위원장 채용 계획을 시청 홈페이지에 공고했다. 응시원서 접수기간은 오는 28일부터 내달 3일까지다.
이 위원장은 향나무 사건의 징계 대상자로 사실상 자진사퇴 성격이 짙다. 스스로 직을 내려놓는 것은 이미 예견된 일이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 2월 말 취임 시작부터 향나무 훼손 논란과 관련해 감사를 받게 됐고, 해당 사안과 관련된 감사업무에서 제척돼 일절 관여할 수 없게 돼 ‘식물 위원장’이란 오명을 썼다.
또 관련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장은 고도의 청렴도가 요구되는 자리인 만큼 최소 견책 이상의 경징계가 결정되면 직을 내려놔야 한다.
징계가 불가피한 이 위원장 스스로 직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판단 속에서 ‘전보 신청’ 결단을 내린 것이다.
특히 ‘수사 상황을 지켜보고 징계 여부 및 수위를 결정하겠다’는 최근 감사위 결정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언제 그만둘지 모르는 불안감을 안고 직을 수행해야 하는 점과 이에 따른 조직 사기 저하, 임기 내내 ‘꼬리표’가 붙는 등 조직과 시정 운영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 안팎에선 이번 감사위원장 교체에 대해 ‘너무 늦은 감이 있다’ ‘면피성 교체가 아니냐’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이 위원장에 대한 징계는 별도로 진행할 것”이라며 “제 식구 감싸기로 봐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위원장직을 내려놓으면서 오히려 감사위원회가 징계에 대한 부담감을 덜 수 있다”며 “그걸 감안해 본인이 요청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사 지침에 따르면 경력직 공무원이 개방형인 감사위원장 임기를 못 채울 경우 원 소속기관으로 복귀한다. 이 위원장이 시청 부이사관(3급·국장급)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한편 시청 내부에선 이 위원장은 오는 7월 대전시 하반기 국장급 인사 때 본청보다는 인재개발원 등 직속기관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