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폐섬유화 질환 유발 분자기전 규명됐다
연세대 의대 윤호근·손명현 교수 연구팀
폐 조직의 섬유화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인 특발성 폐섬유화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적 단백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27일 연세대 의대 윤호근·손명현 교수 연구팀이 특발성 폐섬유화증 환자 클럽세포에서 세포사멸 유도 단백질5(PDCD5)가 많아지면 섬유화 유발 단백질들이 과다분비 되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단백질이 폐섬유화증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고, 이 단백질을 억제하는 방식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연구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클럽세포에서 PDCD5가 많아지면 섬유화 유발 분비인자(Matricellular protein)가 세포외기질로 많이 분비되고, 이것이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폐조직이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가 진행되는 것을 알아냈다.
섬유화 과정은 콜라겐 같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이 조직에 과다하게 축적, 정상구조를 파괴하면서 진행된다.
클럽세포에서 PDCD5가 과다해질 경우 섬유화 유발 분비인자를 조절하는 상위인자인 TGFβ에 의한 정상적인 신호를 왜곡해 세포외기질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일련의 과정을 밝혀냈다.
실제 클럽세포에서 PDCD5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도록 만든 유전자 결손생쥐모델에 섬유화를 유도하는 화합물(bleomycin)을 주입했을 때 PDCD5 유전자를 가진 생쥐에 비해 폐섬유화가 덜했고 생존률도 높았다.
연구재단 관계자는 “클럽세포와 폐섬유화와의 연관성을 처음 규명하고 PDCD5의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폐섬유화증 치료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