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S, 실시간 음원 위치 추적기술 개발

소리 위치·크기 실시간 파악...기존보다 정확도 10배 이상 향상

2021-06-17     이성현 기자
KRISS-포스텍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이 포항공과대(포스텍)와 함께 소리 위치와 크기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지도처럼 시각화하는 ‘실시간 음원 위치 추적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KRISS-포스텍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이번 기술은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하고, 연산시간은 10분의 1 수준이다. 향후 정찰·수송·구조 등에 이번 기술을 결합하면 다양한 비대면 드론 임무 성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소리에는 많은 정보가 담겨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충분한 분해능과 정확도가 확보되지 않아 소리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소리의 위치를 찾아도 크기까지 예측하기는 어려웠고, 여러 소리가 섞여 있는 경우 위치의 정확도가 현저히 낮았다. 정확도를 높이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KRISS-포스텍

이에 공동연구팀은 시간을 단축하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여러 소리가 섞여 있는 악조건에서도 개별 음원의 위치와 크기를 정밀하게 구분할 수 있다.

공동연구팀은 다양한 음향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 56개 스피커를 구 형태로 실험실에 설치했다. 이 가운데 여러 개의 스피커에서 특정 소리를 내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위치와 크기를 추적해 이를 지도처럼 시각화한다.

장지호 책임연구원은 “음향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각각 전문성을 가진 KRISS와 포스텍이 다학제적 융합연구를 진행한 것이 좋은 성과로 연결됐다”며 “기술이 상용화되어 기존 시장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