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해수담수화 농축폐수 마그네슘 회수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 동시 저감...친환경 융합기술 주목

2021-07-06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해수담수화 농축폐수에서 마그네슘을 친환경 추출하고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동시 처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방준환 박사 연구팀이 해수담수화 농축수 자원화 및 CO2 동시 처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해수담수화 공정에서 나온 농축수에 알칼리물질과 이산화탄소를 넣어 고체화된 탄산염 광물을 생성, 마그네슘을 추출하고 이산화탄소 발생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융합 자원회수기술이다.

우리나라의 해수담수화 농축수는 일간 7만 5000톤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2~3년 내 일간 17만 5000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담수화 과정에서 바닷물 2톤을 담수 1톤으로 만드는데 사용되는 전기는 약 1.8kg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

특히 해수담수화 과정에서 제거된 소금 성분은 모두 농축수에 모이며 기존 해수보다 소금 함유량이 2배 정도 많다. 별도 과정 없이 농축수를 바다에 내보낼 경우 면역력이 약한 치어(稚魚) 등은 몸속 수분이 빠져나가 죽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농축수에 함유된 마그네슘의 90~99%가 추출돼 탄산염 광물로 바뀌고, 농축수에 첨가한 이산화탄소도 97%이상 저감된 것을 확인했다.

또 마그네슘 추출 이후 남은 농축수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가성소다와 친환경 자원인 수소, 플라스틱 원료인 염소의 생성을 확인했다

방준환 박사는 “해수담수화 농축수 자원화 및 CO2 동시 처리 기술은 해수담수화 현장에서 나오는 농축수와 이산화탄소 발생이라는 현안을 동시에 해결해주는 연구성과”라며 “지속적인 연구와 협업을 통해 기술 상용화는 물론 친환경 에너지 자원개발로의 연구영역 확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복철 원장은 ”친환경 에너지 자원에서도 ESG경영, 그 중에서도 환경(E)이 가장 중요한 화두“라며 “환경과 해양생태계를 우선 고려한 이번 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친환경적인 지질자원분야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