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VR·AR 등 차세대 콘텐츠 제작·편집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홀로그램 등 차세대 입체 영상 콘텐츠를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비전문가도 멀미 없이 3D 영상을 만들고 편집까지 할 수 있는 비정형 플렌옵틱 콘텐츠 획득·생성·저작 및 가시화 플랫폼 SW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플렌옵틱 기술은 빛 정보를 고차원적으로 획득해 컴퓨터 연산으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입체 영상을 만들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다.
연구진은 전용 플렌옵틱 카메라로 촬영한 뒤, 고성능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촬영 후에도 동영상과 사진의 초점과 시점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판소리 공연에 본 기술을 활용하면 영상을 편집할 때는 북을 치는 고수와 소리꾼 쪽 등 원하는 곳으로 초점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시점도 기본 화면에서는 촬영 장비나 마이크에 가려져 보이지 않던 등장인물을 비추도록 바꿀 수도 있다.
특히 이번 기술은 사람의 눈과 유사하게 양안 시차, 운동 시차, 초점 조절, 6자유도 등을 모두 구현하며 입체감을 실질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 위치와 이동성 제약 없이 자유롭게 촬영이 가능한 ‘비정형 플렌옵틱’기술로 동일 용량 대비 품질도 정형 기술보다 성능이 높다. 영상 해상도도 FHD에서 4K까지 높였다.
ETRI 기술은 비전문가도 영상을 손쉽게 편집하고 VR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AR 글래스, 무안경 입체 영상 등 원하는 디스플레이 형태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덕분에 창작자들의 접근성을 높여 부족했던 실감형 콘텐츠 생산을 늘리는 데 많은 활용이 이뤄질 전망이다.
기술 개발을 주도한 ETRI 김도형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 개발로 우리나라가 차세대 실감콘텐츠 기술 관련 산업과 서비스를 선도하고 독자적인 디지털영상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입체 영상 해상도를 8K로 늘리고, 사용자의 가상 체험 재현 공간을 확장하거나 멀미도를 저감하는 등 성능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개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개인 방송 등에서 사용 가능할 정도로 기술을 고도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