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의원, “일본발 입국 80% 방사능 검사 없어”

일본 원전 방사능 누출 2차 오염 사실상 무방비, 대책 마련 시급

2011-03-27     이재용 기자
국토해양위원회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 자유선진당)이 공항․ 항만 등 일본에서 입국하는 모든 경로에 대한 방사능 피폭검사장비와 검사인력 배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권 의원은 “정부가 피폭검사장비 설치 및 운영에 안이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자발적 검사에 의존하고 있는데다가, 국제공항 및 여객터미널마다 방사능감시기 겨우 1∼2대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전체입국자 가운데 수검여객 숫자는 1/5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인천공항의 경우 17일부터 20일까지 4일 동안 전체 일본발 여객대비 수검여객숫자는 고작 18.2%(7,68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객숫자가 많은 인천 ․김포공항의 경우 방사능감시기가 2대 설치되어 있지만, 김해 ․제주공항의 경우 감시기가 1대 밖에 없으며, 청주공항의 경우 감시기가 설치 조차되지 않았다.

여객터미널은 상황이 더 열악해 부산여객터미널의 경우 방사능감시기 1대가 설치되어있고, 광양만 여객터미널의 경우 2대 설치된 게 전부이다.

권 의원은 “빠른 시일 내에 상대국(일본)과 협의하여 한국행여객이 탑승시에 방사능 오염여부를 검사받고 탑승하도록 하고, 피폭자로 확인될 경우 별도의 격리된 공간이나 항공기를 이용하도록 조치하여 2차 오염 가능성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