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 암진단용 동위원소 자동생산 시스템 구축
국내 연구진이 암진단용 동위원소 ‘지르코늄-89’ 2종에 대한 자동생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르코늄-89 옥살레이트 및 클로라이드 형태 의약품 원료물질 2종을 동시 대량 생산하는 자동화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지르코늄-89는 체내 분포한 암조직을 영상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연구 목적에 따라 옥살레이드 제형은 단백질·항체 기반 의약품 합성에, 클로라이드 제형은 유기저분자와 나노물질 기반 의약품 합성에 쓰인다.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 박정훈 박사 연구실은 화학분리공정을 최적화한 후 생산장치에 필요한 제어시스템과 핵종 분리 프로그램 GUI(Graphical User Interface)까지 자체 개발했다.
이 장치를 통해 생산한 옥살레이트와 클로라이드 두 제형 모두 99.9% 고순도로 세계 최고 수준 품질이다. 하루 생산량은 100mCi(밀리퀴리) 이상으로 국내 대형병원 및 연구기관 20여 곳에서 원하는 용량을 언제든지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첨단방사선연구소 이남호 소장은 “지르코늄-89는 세계 시장 잠재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지르코늄-89 생산장치의 국산화로 우리나라 방사선 산업의 주요 수출 품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원자력연은 생산한 지르코늄-89의 중국 수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르헨티나, 태국, 마케도니아, 남아공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통해 지르코늄-89 생산시스템 자체의 도입을 요청하고 있어 지르코늄-89 이용 저변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