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충남대병원, 코로나19 환자 자연살해 세포 변화 규명

코로나19 환자, 자연살해 세포 항바이러스 기능 약화 중증 코로나19 환자에서 오래 지속...선천면역 반응 손상

2021-08-10     이성현 기자
질병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충남대병원과 함께 코로나19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연살해 세포의 변화를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KAIST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연구팀은 충남대병원 김연숙·천신혜 교수팀과 코로나19 환자들의 자연살해 세포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경증 환자는 일주일 내로 사라지지만 중증 환자는 오래 지속됨을 규명했다.

항바이러스 선천면역 반응의 한 축을 담당하는 자연살해 세포 기능 이상을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서 처음 규명하게 된 것이다.

공동연구팀은 한국인 코로나19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초기부터 회복까지 추적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에게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를 발견했고, 이 세포가 일반적인 자연살해 세포보다 세포독성 기능이 감소해있음을 밝혔다.

또 코로나19 중증도와 관계없이 공동적으로 질병 초기 빠르게 증가하며 이로 인해 환자의 선천면역 반응이 약화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 처음으로 코로나19 환자에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의 증가를 발견해 코로나19 환자에서 나타나는 선천면역 반응 손상의 기전을 보고한 연구로 세계 면역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과학기술원 공동연구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저널(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gy)'에 게재됐다. 특히 이번 논문은 저널 편집자로부터 주목을 받아야 할 주요 연구성과로 선정돼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저널에 소개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 제1저자 KAIST 임가람 박사 연구원(現 연세의대 소화기내과 임상강사)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서 특징적으로 비정형 자연살해 세포들이 증가해 있음을 발견했다ˮ며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러한 자연살해 세포 변화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의 임상적 특징을 이해하고, 중증 환자에서 선제적인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임상적 근거가 될 것ˮ이라고 설명했다.

충남대병원 김연숙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환자의 질병 과정의 초기부터 회복기까지 자연살해 세포의 변화 및 특성을 세계에서 최초로 분석해 규명한 연구 결과로서 코로나19 환자에서 나타나는 선천면역 반응의 손상 기전을 최초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ˮ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