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출산 ‘제로’ 산부인과 62곳...인프라 붕괴 ‘심화’

분만기관 폐업도 지속...저출산 및 전공의 확보 어려움 원인

2021-09-28     김거수 이성현 기자
표시과목이

대전·충남지역에서 분만을 전혀 하지 않는 ‘무늬만’ 산부인과인 의원이 62곳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저출산 및 전공의 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분만기관 폐업도 지속되고 있어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가 심화되는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산부인과임에도 분만을 전혀 하지 않은 의원이 전국 1097곳으로 나타났다.

이중 대전은 34곳, 충남은 28곳으로 나타났다. 5년 전인 2016년과 비교하면 각각 3곳, 2곳이 늘었다. 이 기간 분만건수는 40만 4703명에서 2020년 27만 3292명으로 13만 1411명이 줄었다.

같은 기간 분만 기관 폐업도 지속됐다. 대전은 2016년 30곳에서 2020년 24곳으로, 충남은 29곳에서 22곳으로 각각 6곳, 7곳이 문을 닫았다.

지역별

신 의원은 이같은 현상이 산부인과 기피에서 나온다며 지난해 전공의 확보율은 88.7%로 평균 92.4% 대비 3.7%p 낮았고, 중도포기율 역시 3.52%로 기초과목을 제외하고 소아청소년과(3.64%) 다음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저출산 현상과 함께 여전히 열악한 산부인과 근무조건으로 인해 산부인과 의료인과 분만 의료기관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며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는 응급상황 대처를 어렵게 하고 분만취약지 증가 등 분만환경 악순환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임신·출산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고 출산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정책적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