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궐선거, 3당 모두 울상

한나라 과학벨트, 민주 기반 다지기, 선진당 변화 과제 하나씩 안아

2011-04-28     이재용 기자

대전충남의 재보궐선거가 한나라당이 1곳, 민주당이 1곳, 자유선진당이 4곳을 차지하며 막을 내렸다.

미니총선이라고 불리우며 내년 총선의 바로미터로 평가되는 4.27 재보궐선거 결과 1곳씩 차지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안도의 한숨을 쉬고, 4곳을 차지한 자유선진당은 잘 싸우고도 불안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빠져버렸다.

선진당의 경우 비록 4곳에서 당선이 됐지만 지역 국회의원 5명이 몰려 있는 대전에서의 패배와 세종시 이슈를 대표하는 연기에서의 패배는 선진당의 조직력과 이슈 장악력의 부재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내년 총선에도 바람 외에는 승산이 없다는 내부 불안을 야기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지난 11일 이회창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4.27 재보궐선거의 전승을 기약할만큼 선진당에게 이번 선거는 과학벨트 라는 이슈와 반 이명박 대통령 분위기를 주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지만 대덕구와 연기의 패배로 모두 물거품이 돼 버렸다.

현재 선진당에는 변화가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전국정당을 표방하고 있음에도 충청지역 외에 후보를 단 한 곳도 내지 못했다는 점과 세종시 이슈를 민주당에 빼앗기고 있다는 점은 지도부가 지역 정당에 안주해버린 것으로 보일 수 밖에 없다. 

한편 한나라당과 민주당 역시 체면치레는 했지만 숙제를 한가지씩 안게 됐다.

한나라당의 경우 박성효 최고위원과 정용기 구청장은 대덕구의 승리로 체면치레를 한셈이지만 전국적으로는 참패를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과학벨트 문제와 반 이명박 대통령 분위기가 이대로 지속될 경우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보여졌던 심판론이 그대로 이어져 내년 총선에서 대전충남의 전패를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지난 해 안희정 도지사의 승리와 연기군 재보궐선거의 승리로 세종시 이슈를 장악했다는 점은 인정돼지만, 여전히 대전충남에서 기반을 전혀 잡지 못하고 있어 기본적인 조직조차 갖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4.27 재보궐선거 관련 전국적으로는 한나라당의 참패, 민주당의 승리 라는 분위기지만, 대전충남의 경우 어떤 당도 환호성을 지를 수가 없는 상황이다. 각각 숙제를 하나씩 떠 안은 가운데 가장 큰 숙제를 가진 자유선진당이 어떤 변화를 보여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