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고령자 돕는 로봇 AI 기술 개발

대규모 실증으로 기술력·안전성 검증, 실용화 기여

2021-10-07     이성현 기자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고령자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ETRI는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령자 일상 행동 인식하는 기술 ▲얼굴 특징, 의상 스타일 등 고령자 외형특징 인식 기술 ▲고령자 소지품 인식 기술 ▲고령자와 상호작용 행위를 로봇이 스스로 생성하는 기술 ▲고령자에 특화된 음성인식 기술 등 총 13개의 로봇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들을 활용하면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에 약을 복용했는지 확인하거나 함께 운동하면서 자세를 교정하고 리모컨 같은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위치를 알려드리는 등 다양한 소통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본 기술을 다수의 고령자 대상으로 다양한 가정 환경에서 성능과 안정성을 확인했다. 올해 9월부터 연구진은 경기도 수원시에서 실제로 할머니가 거주하고 있는 가정 2곳에 연구진의 기술을 탑재한 로봇을 두고 2개월간 같이 생활하면서 기술을 검증하고 있다.

또 10월부턴 경기도 이천노인종합복지관에서 고령자 100명을 대상으로 정보제공, 복지관 안내, 대화 서비스, 기억 보조 등의 유용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대전시 유성구 소재 아파트 주거 환경에 리빙랩을 구축하고 40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실증도 계속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연구진이 로봇의 관점에서 고령자에 특화된 기술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을 검증하고 안전하게 대규모 장기 실증을 한 것은 세계 최초 사례다.

ETRI 인간로봇상호작용연구실 김재홍 실장은 “대규모 장기 실증으로 예기치 못한 문제들을 도출하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기술력을 확보했다”며 “고령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로봇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향후 연구진은 공개한 기술들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안정화 작업을 하는 한편, 현재 로봇이 인지, 정서적 지원을 하는 수준에서 나아가 청소, 식사 준비, 심부름 등 사회적 약자의 실질적인 일상생활을 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