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차 접어든 지질연 원장 공백, 과기계는 “시스템 마련해야”
“후보 검증 절차 과기계 종사자 참여해야...지연·순연 관행될까 우려”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최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수장 공백이 4개월째에 접어들면서 과기계에선 출연연 행정 공백을 막을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과기계에 따르면 지질연은 지난 7월 김복철 전 원장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에 선임되면서 현재까지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당초 NST 김복철 이사장이 취임하면서 당면 현안들과 더불어 지질연 신임 원장 공모 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됐지만 4개월 간 3명의 후보만 추려냈다.
NST는 지난 9월 지질연 김광은 책임연구원(부원장·현 직무대행)과 서울대 이인성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지질연 이평구 책임연구원 등 원장 후보자를 3명으로 최종 압축했으나 현재까지 예정된 이사회 일정은 없는 상황이다.
한 기관의 수장이 없다 보니 직무대행 체제로는 기관을 이끌기에 한계가 있고 자칫 관행처럼 굳어져 내부 사기 저하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때문에 과기계에선 기관장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나 시스템 도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공연구노조 관계자는 “출연연 기관장 선임 지연의 큰 이유는 실제 과기계종사자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검증하다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지연하고 순연하는 등 관행처럼 굳어졌기 때문”이라며 “민주적 선임 절차를 갖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렇게 수장 공백이 길었던 경우가 지질연만의 얘기는 아니다. 올해 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출연연에서 원장 선임이 최소 2달 지연됐다.
이를 총괄하는 NST조차도 지난해 말부터 이사장 자리가 공백이었다가 수개월만에 선임된 임혜숙 전 이사장이 3개월만에 과기정통부 장관에 선임되면서 또다시 공백을 낳은 바 있다.
NST 관계자는 “임기만료로 인한 원장 공모의 경우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해 그 이전부터 준비를 할 수 있는데 중도사임으로 인해 원장 공모할 경우 처음부터 준비해야 되는 경우가 있어 시간이 소요된다”며 “(원장 선임까지) 보통 3~4개월 소요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