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주관 격상된 국가우주위, 우주 비즈니스 시대 목표 ‘첫 발’
2031년까지 위성 170기, 로켓 40여회 개발 국내 최대 규모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14년간 사업비 총 3조 7234억5000만원 투입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우주개발 진흥법 개정으로 위원장이 국무총리로 격상된 국가우주위원회가 15일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첫 회의를 갖고 ‘우주 비즈니스 시대’를 목표로 로드맵을 제시했다.
국내 민간 우주기업 육성을 위해 2031년까지 공공 목적 위성 170여기 개발과 국내발사체를 총 40여 회 발사를 추진, 국내 최대 규모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에는 총 3조 7234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이날 김부겸 위원장(국무총리)은 제21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주재하고 우주산업 육성 추진 전략,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 개발 사업 추진계획, 국가우주위원회 운영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아직 성장 초기단계인 국내 우주산업 역량을 한단계 도약시키기 위해 우주산업 육성 추진 전략을 마련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3조 2610억원으로 세계 우주산업의 1%에 불과하다.
우주산업 육성을 통해 국내 대표 우주기업을 육성하고 내년부터 2031년까지 공공목적 위성 170여기를 개발하고 이와 연계해 국내발사체를 40여회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또 나로우주센터 내 민간기업 전용 발사체를 구축하고 우주산업 거점으로 발사체, 위성, 소재·부품 등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인프라로서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도 추진한다. 위성항법시스템은 다수의 인공위성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교통·통신 등 경제‧사회 전반의 기반기술이자 자율주행차·도심항공교통(UAM) 등 4차 산업혁명 신산업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꼽힌다.
정부는 2022년부터 2035년까지 14년간 사업비 총 3조7234억5000만원을 투입해 위성항법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위성‧지상‧사용자 시스템을 개발‧구축할 예정이다.
연구개발 총괄을 위해 항우연 내에 ‘KPS개발사업본부’를 설치할 예정이며, 향후 ‘KPS위원회’, ‘KPS개발운영단’ 등의 전담추진체계 마련 등을 위해 ‘국가 통합항법체계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도 추진한다.
김부겸 위원장은 “짧은 우주개발 역사에도 우리 땅에서 만든 누리호를 발사해 세계 7번째로 1톤급 이상 대형위성을 스스로 발사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나라가 됐다”며 “우주기업을 키우고, 강한 자생력을 갖춘 우주산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우리의 다음 목적지로 설정하여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위원회 후 항우연 내 연구현장을 찾아 다목적 실용위성 제작현장을 시찰하고 연구자들을 격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