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억 당진시의원, "쌀 가격 하락 대책 마련 촉구"
쌀 브랜드화 및 농협 통합RPC 중심의 새로운 소비처 발굴 등 제안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당진시의회 임종억 의원이 23일 제89회 제2차 정례회(본회의 1차) 5분 발언을 통해 “쌀 가격 하락에 따른 농가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지속가능한 대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임종억 의원은 통계청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의 발표 자료를 인용하여 “올해 벼 재배면적은 73만 2천 477ha로 지난해보다 0.8%(6045ha) 증가하였으나,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올해 56.2kg에서 내년엔 54.8kg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이어 “우리시의 쌀 생산량도 지난해보다 9천여 톤이 늘어난 12만 톤이 생산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면서 “쌀 생산량 증대, 재고 누적 등을 고려하면 쌀값의 하락으로 농가경영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도내 농협의 자체 수매가격을 보더라도 10월 기준 지난해 벼 40㎏ 1가마니 수매 최고가격이 72,000원이었으나, 올해에는 65,000원으로 지난해보다 7,000원 정도 하락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임 의원은 “쌀값의 문제가 매년 되풀이될 때마다 자치단체는 정부의 눈치를 보고 매년 임기응변적 대처를 해왔다”고 지적하며 “지금이라도 우리 시와 농협, 그리고 농업회의소, 농업인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농업의 근간인 쌀 문제에 대하여 중·장기적인 대책을 함께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매년 반복되고 있는 쌀값 하락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지역 쌀 브랜드화 및 홍보, 쌀 소비 촉진 운동 등의 기본적인 대책 마련 ▲농협 통합RPC 중심의 새로운 소비처 발굴과 대형마트 등 다양한 판로 개척 ▲농업인의 손실 보전 등 실질적 지원 정책 마련을 정부에 적극 건의하고, 자체적으로는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 발굴 ▲쌀 생산량을 통제하여 쌀 가격을 안정화한다는 정책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