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화학사고 예방 및 안전체계 구축

행동매뉴얼 개정, 지역협의체 구성, 대응계획 수립 등 화학사고 대비·대응

2021-12-23     박동혁 기자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충남 천안시는 신속한 화학사고 대응으로 지역주민 생명과 재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재 및 대피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천안시청사

시 관계자는 23일 “대규모 주거단지 주변 화학물질 취급 산업단지가 다수 분포해있고,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수가 충청남도 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신속한 사고대응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화학사고 대비·대응 체계를 구축해 안전한 천안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천안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개정을 비롯해 화학물질 지역협의체를 구성하고, 화학사고 대응계획 수립, 대피장소 지정 및 안내지도 배포 등을 진행 중이다.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은 재난 유형별로 현장에서의 임무를 직접 수행하는 기관의 행동조치 절차를 구체적으로 수록한 가이드로, 실제 재난상황 발생 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길라잡이이다.

시는 매뉴얼 마련을 위해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맞춤형 컨설팅에 지난해 11월 참여했으며, 재난 현장에 필요한 핵심 조치사항을 발굴하고 협업기관의 임무와 역할 등 구체적인 행동 절차 요령을 마련했다.

또 시는 소방과 경찰, 군부대, 기업, 주민이 합동으로 시행 가능한 사고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 ‘천안시 화학물질 지역협의체’를 지난 9월 구성했다.

천안시

화학물질 지역협의체는 사고 예측도가 높은 사업장을 4개 위험구역으로 나눠 화학물질 유출사고 대비 대책을 협의하고, 사업장별 시행 가능한 사고대응 대책 조사와 민·관별 임무의 역할을 협의하고 있다.

아울러 시는 화학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해 ‘천안시 화학사고 대응계획’을 지난 11월 수립 완료했다.

화학사고 대응계획에는 △화학사고 발생 시 초동대처 △주민대피계획 △화학사고 복구 및 지원계획 △비상연락체계 등이 담겼다.

이 밖에, 시는 주민의 안전을 위해 17개의 화학사고 대피장소를 선정했으며, 주민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주민 행동요령 및 대피장소 안내지도를 한국어, 영어, 베트남어로 배포했다.

앞으로 시는 화학물질 운송차량 경로 파악, 미신고 및 폐쇄 대상 사업장 확인 등 추가 내용을 포함한 천안시 화학사고 대응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며, 주민과 학생 대상 안전교육 실시, 대피장소 안내표지판 설치 등 새로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