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발목 염좌, 초기치료가 중요
S&K병원 김용인, 김승기, 양대석, 문경호 원장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운동을 하다 발목이 삐었을 경우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그러나 초기에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외상을 입은 발목의 인대가 약해져 발과 발목을 연결하는 뼈가 불안정해지고 반복적으로 충돌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인대봉합술등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거나 시간이 오래 지체된 경우 연골손상으로 관절염으로 발전될 수 있다.
발목 염좌는 3단계로 구분한다. 1도 염좌는 인대 파열이 없이 주변 조직의 손상만 있는 경우이고, 2도 염좌는 인대의 부분 파열이 일어난 상태, 3도 염좌는 인대 완전 파열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증상의 정도나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다. 1·2도 염좌는 보존적 치료를 3도 염좌의 경우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발목 염좌가 발생했을 경우 인대의 기능을 회복해 주는 치료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에는 보조기를 이용해 일정기간 발목을 고정시켜 부종과 통증을 줄여주고, 관절운동과 근육강화운동을 통해 늘어난 인대를 복구시켜 발목 관절의 안정성을 회복하는 치료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발목을 삐었을 경우, 침이나 찜질 등의 방법을 사용해 통증을 완화시킨 후 아무런 치료 없이 그대로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발목 불안정증을 불러올 수 있어 위험하다.
만성 발목 불안정증은 염좌등 외상으로 손상된 발목 인대가 완전하게 회복되지 않아 정상보다 커진 유격이 발생해 발목이 불안정하게 되는 질환이다. 발목 관절 통증이 지속되고, 아주 작은 충격에도 발을 접질리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발목 불안정증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손상이 가속화돼 발목 주변 관절에 염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발목 연골 손상까지 동반돼 발목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발목 불안정증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발목 염좌와 발목 불안정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전에는 적절한 발목 스트레칭으로 관절과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빠른 속도로 걷거나 뛰는 것은 발목 접질릴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천천히 걷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으며, 자신의 사이즈에 맞는 신발을 신는 것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