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중앙회 '서울 이전설'...정치권 파장 예고

민주당 침묵 속 국힘 이장우 "대전시장이 무책임한 태도 보일까 우려" 비판

2022-02-07     김용우 기자
이장우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6·1 지방선거를 114일 앞두고 대전에 본사를 둔 신협중앙회의 서울 이전설이 지역 정치권의 태풍의 핵이 될지 주목된다.

지난 2020년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 이전으로 지역민들의 상처가 아물기도 전에 신협중앙회의 이전설이 대두되면서 엎친 데 덥친 격이 된 것. 특히 지역 정치권이 신협중앙회 붙잡기에 실패할 경우 거센 후폭풍이 예상된다.

하지만 ‘중앙회, 이전 검토 중’, ‘단순 아이디어 차원 의견 제시’ 등의 지역 언론 보도가 둘로 나뉘면서 혼란 해소를 위한 신협중앙회의 공식 입장이 필요해 보인다.

이전설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현역 단체장이나 국회의원들이 침묵을 유지하는 가운데 국민의힘 이장우 전 국회의원이 먼저 포문을 열었다.

이 전 의원은 7일 자신의 SNS에 이전설에 대한 언론 보도를 첨부, “또 우울한 소식을 듣게 된다. 대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신협중앙회가 서울로 옮긴다는 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본사가 대전에 있어 소외를 당하고 있다는 이유”라며 “대선에서 AI 후보가 대활약하는 시대에 궁색한 논리이고, 지방분권에도 역행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중기부를 비롯한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심지어 민간기업까지 줄지어 탈 대전 행렬에 가세해 점차 대전의 도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장이 또 다시 뒷짐지고 강 건너 불구경하듯 무책임한 태도를 보일까 우려된다”고 허태정 시장을 겨냥했다.

한편, 신협중앙회는 지난 2006년 서울 방배동 중앙본부와 수원 전산센터, 대전충남지역본부 등 임직원과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해 총 300여 명이 대전 신청사로 이전했다.

2020년 말 현재 신협중앙회 총 자산은 110조 9000억원이며, 지역 인력 채용, 세수증대 효과 등 대전지역 경제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신협중앙회 이전이 현실화되면 지역 인력과 인구 유출, 세수 감소로 이어져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