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플랫폼 개발 ‘순항 중’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ETRI에 따르면 최근 스마트워치나 밴드 등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헬스케어 산업의 기술력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직장 스트레스 솔루션과 연동되는 기술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ETRI는 스트레스 관리의 전(全) 주기를 책임지는 앱(App) 형태의 플랫폼 ‘웰마인드’를 개발하고 있다.
웰마인드는 웨어러블 기기뿐 아니라 센서와 연동해 온도와 습도, 소음, 미세먼지, 조명 등 근무환경을 분석하고, 근무시간이나 업무 스케쥴 등 작업정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밀하게 직장 스트레스를 측정한다.
웰마인드의 AI 분석 모델은 수집된 모든 데이터를 학습데이터와 비교·분석해 근로자의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한다. 연구책임자 김현숙 책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하는 기술이 핵심”이라며 “분석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데이터를 축적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특히 웰마인드는 실시간으로 직무 일정을 모니터링해 차 마시기, 음악 듣기, 스트레칭 하기, 명상 등 스트레스 해소법도 제공한다.
연구진은 현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VR 콘텐츠 제작을 완료하고 연구원 내 리빙랩을 구축해 스트레스 측정 및 솔루션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다.
향후 연구진은 AI 분석 모델의 완성도를 높여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적화 후 활용처를 넓혀나갈 방침이다. 국내외 디지털 헬스업체 등에 기술이전해 개인 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윤대섭 인지·교통ICT연구실장은 “한국과 EU 국가들과 함께 개발 중인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의 결과물은 국내 및 유럽의 산업계를 통해 사업화 되어 지식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예방, 진단 및 해소의 신속한 처리를 통해 조직의 멘탈 웰빙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