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동해 울릉분지 과학시추 결정

2022-02-24     이성현 기자
사진3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수행해 온 동해 해저 지구물리탐사 연구의 결실이 맺어졌다.

지질연(KIGAM)은 국제공동해양시추프로그램(IODP) 사무국을 통해 동해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시추 유치 성공은 지질연 주도로 197년 IODP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우리나라가 유치한 첫 번째 대형프로젝트다.

지질연은 이번 IODP 과학시추 유치를 통해 울릉분지의 해저지질 특성 확인과 기후변화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인 해저사태의 원인규명 등 자연재해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를 본격화한다.

특히 최근 통가 해저화산 폭발 등 기후변화로 인한 해저 지질재해의 발생 가능성과 원인 분석 연구를 통해 자연재해 예측을 위한 과학적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2024년 운항 예정인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를 활용해 심해 부존자원 탐사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한편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에 참여하는 전세계 IODP 승선 연구자들은 모든 연구보고서에 ‘울릉분지’의 지명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특히 과학자들에게 ‘쓰시마분지’로 불리는 ‘울릉분지’의 국제적·공식적인 지명 확립은 물론, ‘일본해(Japan sea)’가 아닌 ‘동해(East Sea)’ 표기 증가의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평구 원장은 “선진 26개국이 참여하는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를 통해 대한민국의 해저지질연구분야 위상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동해 해저 자원 개발은 물론 동아시아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울릉분지 IODP 과학시추를 통해 우리나라는 약 500억 원의 시추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시추 일정은 대서양 시추를 마치는 2024년 이후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