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최초 민주화 운동 3.8 민주의거 기념식

2022-03-08     김용우 기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1960년 대전지역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충청권 최초의 민주화 운동인 3⋅8민주의거 제62주년 기념식이 8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기념식은 ‘성큼 겨울을 뛰어 넘으리’라는 주제로 진행됐으며, 3·8민주의거 참가자, 허태정 대전시장, 국가보훈처장, 정부 주요인사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식전행사인 3·8민주의거기념탑 참배로 시작한 기념식은 14시 본 행사인 국민의례, 여는 영상, 결의문 해설, 기념사, 기념공연, 3·8찬가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3·8민주의거 둔지미공원 기념탑 참배에는 3·8민주의거 참여자, 허 시장, 국가보훈처장 등 11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1960년 3·8민주의거 시위 중심이 되었던 7개교 중 대전고, 우송고, 대전여고, 호수돈여고, 보문고 학생대표 5명이 각 1명씩 애국가를 선창하는 것으로 시작됐다.

이어 김용재 3·8민주의거 기념사업회장의 실증 인터뷰가 담긴 영상 상영과 3·8민주의거를 처음으로 다룬 영화‘대전, 1960’의 주연배우 전영찬이 당시 결의문이 작성되었던 배경과 의미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참석자들이 함께 3·8찬가를 제창하며 1960년 3월, 독재의 겨울을 성큼 뛰어넘어 민주의 새봄을 불러온 3.8. 민주의거의 숭고한 뜻을 기리며 행사를 마무리 했다.

한편 대전3.8민주의거는 2018년 11월 충청권 최초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기념식을 거행하고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여파로 기념식이 취소됐었다.

대전ㆍ충청권 최초의 학생운동이며, 지역 민주운동의 효시로 역사적 교훈과 가치가 크며, 대구 2ㆍ28운동, 마산 3‧15의거와 함께 4‧19혁명의 기폭제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