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도시.주거 환경정비 계획안 난개발 부추겨

시행업체들 입맛에 맞게 계획안을 마련

2006-03-23     편집국

청주시가 재개발과 재건축을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의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안을 마련했으나,오히려 난개발을 부추겨 도시발전을 해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청주시가 지역의 미래가 걸린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안을 마련하면서 주택 수요.공급과 학교용지 확보 방안 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

청주시는 사직동과 내덕동등 39군데 단독주택 밀집지역 2백 33만 7천여 제곱미터를 재개발하거나 재건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이 계획안에 따르면 흥덕구 사직2동사무소 주변과 상당구 금천동등 11개 지역이 재개발되고, 우암동 MBC 주변지역과 북문로등 16개 지역은 재건축 대상지역으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게 된다.

또 사직1동 후생사 주변지역과 남주동등 4개 지역은 용적률이 800%에 달하는 도시환경정비사업 예정구역으로 지정돼,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설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청주시의 이번 도시.주거환경 정비 기본계획안은 구역별로 3만제곱미터에서 7만제곱미터로 잘게 쪼개 놓아 앞으로 도로와 공원,학교부지등 공공용지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이과정에서 청주시는 현재 전문 시행업체들에 의해 재개발과 재건축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지역을,그대로 대상에 포함시켜,업체 입맛대로 기본계획안이 마련됐다는 의혹을 낳고 있다.

더구나 청주시는 이처럼 39개 지역을 재건축,재개발 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주택 수요.공급 물량을 전혀 예측하지 않았다고 밝혀수급 불균형에 따른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청주시는 이번에 마련한 도시.주거환경 정비사업 기본계획안을 다음달 7일까지 주민들에게 공람한 뒤,도 승인을 받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럴경우 이들 지역은 오는 2010년까지 주택을 새로 짓거나 개축할 수 없으며,재개발 추진에 따른 재산권 행사가 제한된다.


청주CBS 박상용 기자 saypark@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