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돌연사 주범' 심부전 원인 규명 연구 소개

인제대 심혈관대사질환센터 연구팀, 심장 칼슘 조절 원리 밝혀…심부전 치료법 실마리 제공

2022-03-21     이성현 기자
세레블론과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심장 기능 저하로 신체에 혈액을 원활히 공급하지 못해서 생기는 질환인 심부전의 원인을 규명한 연구가 소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인제대 심혈관대사질환센터 한진·김형규 교수 연구팀이 심장의 전기활동과 수축력을 조절하는 세레블론(세포기능 조절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사망률 2위에 이르는 질환으로 매년 유병률이 증가되고 장기간에 걸쳐 건강수명을 단축시키는 고위험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심부전의 이환율과 유병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정확한 발병기전과 표준 치료법이 없는 실정으로 대부분 치료는 생존율 및 증상 개선을 위해 고지혈증, 고혈압 약물 등과 수술적 요법이 병행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심부전 환자의 심장 수축력이 감소되는 근원적 원인이 불분명했으며 수축력을 조절하는 칼슘 통로의 기능 저하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심부전 환자 심장에서 세레블론 유전자 발현이 증가돼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장에서 해당 유전자 조작 생쥐 모델을 제작, 세레블론 단백질이 심장 수축력을 조절하는 칼슘 통로를 ‘직접적으로 분해’한다는 새로운 조절 기전을 규명했다.

이는 심부전 환자 심장 수축력 조절에 관여하는 칼슘 통로 기능 저하의 원인임을 확인했고 세레블론 발현이 적은 생쥐는 더 나은 심장 수축능력과 심장질환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다는 질병 연관성을 최초로 밝혔다.

김형규 교수는 “현재까지 좌심실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치료의 명확한 표준 체계가 없었다”면서도 “이번 세레블론-칼슘통로 신호전달체계 규명이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