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타이타늄-철 광산 자립화 나선다.
광산전문기업 ㈜경동과 태백-삼척-봉화 면산층 광구 개발 협약 체결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항공과 국방, 의료, 조선 등 주요 산업 전반에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타이타늄 자립화에 나선다.
지질연은 광산개발 전문기업 ㈜경동과 태백-삼척-봉화 지역 면산층 타이트늄-철 광상지역 광산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과 더불어 연구원이 소유한 광업권에 대한 조광권 계약을 통해 ㈜경동은 태백-삼척-봉화지역의 면산층 타이타늄-철 광구의 조광권 실시기업의 지위를 확보했다.
특히 양 기관은 연구원의 광산 전주기(탐사-채광-선광-제련-광해방지) 연구개발기술과 광산개발 전문기업의 노하우 협력을 통해 국내 타이타늄-철 광산 개발에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태백-삼척-봉화 면산층에는 연장 10km 이상, 광체폭 10~50m, 심부연장 200m 이상의 대규모 광상이 분포한다. 특히 2012년에서 2015년까지 태백과 삼척, 봉화 일대의 탐사 결과, 면산층에서 대규모 타이타늄-철의 예상 자원량을 산정한 바 있다.
이번 조광권 대상광구의 타이타늄 예상 자원량은 약 8500만 톤(평균품위 TiO2 6.95~9.1%)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며, 개발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타이타늄 원광과 1차 소재 수입량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풍부한 양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쪼 이번 타이타늄 공동개발을 통해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휴·폐광 지역의 산업·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내 핵심광물 자원 개발 재개를 위한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두 기관은 대규모 광상으로 예측되는 장성지적 제35호, 제66호 등 7개 광구의 원활한 광산개발을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연구원은 타이타늄-철 광체도면 분석을 통한 시추탐사 위치선정 및 자원량 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조광권자인 ㈜경동은 시추공사 착수 전 산림형질변경 인허가·시추위치조성 등 시추탐사에 필요한 사항들을 수행한다.
이평구 원장은 “이번 타이타늄-철 공동개발은 KIGAM의 국내 광물자원 탐사 개발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라며 “KIGAM만이 할 수 있는 고유임무인 국내 핵심광물의 새로운 개발과 확보를 통해 국가와 사회, 국민에게 유용한 과학기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