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명직 최고위원 홍문표 사장 급물살

한미FTA 책임질 적임자론 확산

2011-07-25     김거수 기자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의 정권 재창출을 위해선 한미FTA의 성공적인 안착을 이끌어낼 수 있는 농어업전문가 홍문표 사장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합의 추대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같은 배경에는 농민단체들이 한미FTA를 앞두고 "30여개 농어촌 단체가 추천하고 있는 홍 사장이 농어촌 문제 전문가를 집권당 최고위원으로 영입해야한다"고 한나라당지도부에 요구해 당 지도부 역시 '정책정당으로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계파 몫으로 지명하는 것 보다 나라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

특히 홍 사장은 이명박 정부의 개각 때마다 수차례 농림해양수산부 장관 1순위로 거명될 정도로 당내외에서 농어업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당내 최대변수였던 친박계 최고위원들 역시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으며 더욱이 당내에서 형식적인 지역 배분을 넘어 정책정당으로 발도움하기 위한 인적 쇄신이 이번 기회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나오면서 합의 추대가 이뤄질 전망이다.
그는 국회의원 시절 농림해양수산위와 한국농어촌공사 사장으로 구제역 파문 당시 솔선수범해 전 직원을 방역에 나서게 하는 등 현장행정과 조정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더불어 농어민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그가 농업전문가로서 집권당의 농어업 정책을 완수할만한 적격자라는 측면에서 추대 당위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에 따라 지명직 최고위원에 대해 다양한 안을 갖고 고심하던 지도부는 지금껏 거론됐던 인사들을 제치고, 홍 사장을 합의 추대하는 분위기로 급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충청권에서도 한나라당의 정책적인 미스로 과학벨트와 세종시에 대한 책임을 면치 못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한미FTA라는 굵직한 국가 정책을 안착시키기 위해선 당에 다양한 제안과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전문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한나라당으로서는 차기 총선과 대선 승리를 위해 농어업인의 민심을 잘 파악하고 있는 마땅한 적임자가 없어 고민하던 차에 홍 사장이 농어촌공사 사장 임기가 만료되가고 있는 점을 고려해 구원투수감으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