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암세포 면역반응성 바꿔

2022-04-19     이성현 기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의 면역반응성을 바꾸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창의연구단 이상희 박사는 한국화학연구원 감염병치료제연구센터 김혜진 박사와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새로운 STING 작용제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STING은 DNA 병원체를 인지해 인터페론을 분비하고 선천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이번에 개발한 작용제는 STING 단백질 활성화를 통해 사이토카인을 생성했고, 이를 통해 T세포를 매개로 한 선천면역 반응을 유도헀다.

활성화된 선천면역 반응은 종양의 면역표현형을 바꿔 T세포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Cold tumor’를 반응성이 높은 ‘Hot tumor’로 변화시켰다.

이는 T세포가 암세포에 잘 침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으며 그 결과 동물모델에서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특히 투여군의 20%는 암세포가 완전히 사라졌으며, 암세포를 재이식해 암이 재발하는 환경을 유도해도 추가적인 약물 투여없이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거나 아예 자라지 않는 매우 우수한 항암 효능을 나타냈다.

또 기존의 STING 작용제는 물질은 종양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으로만 투여가 가능했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암종에만 적용할 수 있었으나, 개발한 물질은 정맥 내 투여가 가능함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추가적인 신약개발 연구를 통해 방사선치료, 화학요법 등 기존 표준치료와 연계된 병용 치료요법, 나아가 항암을 위한 단독 투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IST 이상희 박사는 “모두가 암의 정복을 꿈꾸고 있지만, 아직도 항암제 개발이 제한적인 분야가 많다”며 “이 연구가 뇌종양 등 임상에서 면역항암제 적용이 제한적인 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 개발의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