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한나라·선진당 제2라운드

자극적 언어로 정치공세만 가득…언론, 시민들만 대혼란

2011-08-04     이재용 기자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 문제로 정당간 치열한 정치공세가 오가다가 대전 유치 확정으로 정치권이 잠잠해졌나 싶었지만 최근 예산 삭감 논란을 계기로 2라운드에 접어들게 됐다.

예산 삭감 논란은 자유선진당 이상민 국회의원이 지난 2일 성명서를 내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과학벨트 2012년 예산을 당초 4,100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감액 발표했다”고 밝힌데서 비롯됐다.

자유선진당은 지난 3일 이 의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MB정부의 과학벨트 예산삭감, 충청인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논평을 내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이처럼 정략적으로 무산시키려 든다면 충청인과 과학기술계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치공세를 펼쳤다.

더욱이 “국과위는 이명박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태동, 올해 3월 공식 출범한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이번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의 과학벨트 예산 절반 삭감은 국가위의 첫 성과물인 셈”이라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자극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4일 논평을 내고 “과학벨트 예산조정안 추진과정에서 이번 조정에 따라 엄청난 불이익을 받는 것처럼 충청지역 야당의 무분별한 정치공세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과학벨트 예산조정안은 우선당장 사업수행에 필요한 예산을 우선 편성하는 것이며 단지 예산분배에 대한 반영시기를 합리적으로 조정한 것일 뿐”이라며 “결국 과학벨트 전체예산반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감예산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강창희 대전시당위원장은 4일 “과학벨트 예산 절반이 삭감됐다는 보도에 깜짝 놀라 조사해봤다”며 “법으로 통과된 것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예산을 줄일 수 없다”고 전제한 뒤 “확인 절차를 확실히 거치고 보도가 됐으면 좋겠다”고 언론의 무차별적 보도에 대한 아쉬움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불분명한 사실을 자극적인 언어를 사용해 언론 노출을 꾀하거나 서로 정치공세만 펼치는 행태는 자칫 언론과 시민들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