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산단, K-제조업 신성장 거점된다
대전시, 정부 주관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 최종 선정 국비 3000억 확보...노후산단서 스마트그린산단 '탈바꿈'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극심한 노후화 문제에 직면했던 대전산업단지(이하 대전산단)가 K-제조업 신성장 거점지역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대전시는 26일 정부 일자리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 선정’ 공모에 대전산단이 최종 선정돼 국비 3000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산단 대개조 사업의 사업기간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으로, 대상사업 및 사업비는 중앙부처 컨설팅을 통해 부처별 패키지로 지원된다.
지역이 주도적으로 산업단지 중심의 지역 일자리 거점 혁신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중앙 정부는 부처별 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국비 3000억 원을 투입, 37개 세부사업을 진행하며 노후된 대전산단을 스마트 그린 산단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업의 핵심과제는 토지생산성 제고와 산업단지 간 연계협력으로 선순환 입지공급시스템 및 기업성장 생태계 구축, 성장 기회요인을 활용한 제조업 스케일업과 일자리 창출 등이다.
시는 대전산단을 거점 산단으로 지정하면서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연계 산단으로, 충남대와 한남대를 연계 지역으로 선정했다. 충남대와 한남대는 인력 공급, 창업기업 공급, 기술 공급, 인프라 연계 활용 등을 통해 거점 산단의 부족한 혁신역량을 보완한다는 역할을 맡게 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 정부 일자리위원회를 통해 ‘일자리 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을 발표하고, 지난 3월부터 2022년 산단 대개조 지역 선정 공모를 진행했다.
대전산단은 1970년대 조성 당시 대전의 외곽에 입지했으나, 1990년대 이후 다양한 개발사업으로 산업단지의 도심편입으로 인해 환경과 교통문제 등에 취약한 실정이다.
허태정 시장은 “과감한 재정지원을 통해 빠른 시일에 대전산업단지를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K-제조업의 신성장 거점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