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상의, ‘기술유출 예방, 이래서 중요합니다’

29일 오후 2시 대전상의, '기업 기술유출 예방 및 대응방안 합동 설명회' 개최 기술유출 사례 및 시사점 통해 '기업 핵심기술 및 미래 먹거리 산업 보호' 강조

2022-04-29     김용우 기자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상공회의소(회장 정태희)와 국정원 지부, 중소벤처기업부, 대전지방검찰청, 특허청은 29일, 상의회관 4층 중회의실에서 30여 명의 회원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 핵심기술 유출 예방 및 대응방안 합동 설명회’를 개최했다.

29일

이날 설명회는 ▲기업의 기술유출 실태 및 유형별 대응방안 ▲중소벤처기업 기술거래 및 보호전략 ▲특허범죄중점 검찰청의 현재와 미래전략 ▲특허청 특별사법경찰제도 소개 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설명회에 앞서 국정원 관계자는 “최근 5년간 국내 산업기술의 해외 유출 시도가 100여 건에 달하며, 해당 기술들이 해외로 유출됐을 경우 국내 산업의 피해규모는 약 22조원으로 추산된다”며 “기술유출은 기업의 생존을 넘어 국가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끼치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강사로 나선 중소벤처기업부 기술보호과 김대수 서기관은 참석자들에게 기술유출 및 탈취 피해유형을 설명하며 ▲기술호보 관리규정 수립 ▲보안관리 전담자 지정 ▲임직원 기술보호 교육 및 비밀유지서약 ▲핵심 퇴직인력 사후관리 ▲영업비밀 분류 및 반출관리 등 기술유출 피해 대응 10대 핵심수칙을 제시했다.

이어서,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 유철종 서기관은 “특허청에도 특별사법경찰제도가 있어 기술경찰 중심의 지적재산(IP)보호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며, 기술유출 피해 시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다.

한편, 대전상의와 국가정보원 지부는 지역 중소기업의 핵심 산업기술 해외유출 예방 및 차단을 위한 홍보와 교육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