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희 위원장 "과학벨트 소모적 논쟁 안돼"
"부지매입비 부담하면 부대시설, 진입로 건설 등 예산부담 줄 것"
한나라당 강창희 대전시당위원장은 11일 기자와의 오찬간담회를 갖고 과학벨트 예산 삭감과 관련해 있지도 않은 사실을 마치 사실인 양 호도하는 소모적인 논쟁을 반복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강 위원장에 따르면 25개 기초연구단지원비가 줄어든 것은 기초연구단이 오는 2012년 6월 이후에야 출범 가능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됐으며 기초과학연구원 및 가속기 구축비가 줄어든 것 역시 기초과학연구원의 공사계약금 250억원과 중이온가속기 시작품 제작비 170억원이 절차 및 시간, 가속기 상세설계 기간을 고려해 미반영됐다는 것이다.
예산 삭감 논란에 이어 강 위원장은 부지매입비에 대한 설명을 이어나갔다. 강 위원장은 “첫째, 과학벨트사업에 대전시가 주도권을 갖기 위해 토지매입비 일부를 부담하는 것이 유리하다”며 “둘째, 토지매입비 일부를 부담함으로써 오히려 더 큰 부담을 덜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판단의 근거로 강 위원장은 “새만금기본계획에서 총 22조원의 사업비 중 1조원 규모의 지방비가 투입됐다”며 “이를 통해 전라북도가 주도권을 가졌기 때문에 당초 농지 70% 대 비농지 30%의 비율을 농지 30% 대 비농지 70%의 비율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대구 첨복단지의 경우에도 지방비 3천억원이 투입됐다는 사실을 적시했다.
더불어 “지난 5월 16일 정부의 입지선정 발표문에 ‘부지매입비 등은 지자체와 협의해 기본계획 수립시 반영한다’는 문구가 별표 표시가 된 채 두 번이나 적시돼 있다”며 “대전시가 부지매입비를 일부 부담하면 등으로 표현된 부대시설, 진입로 건설 등에 대한 예산부담이 훨씬 줄어들 것”이라고 역설했다.
한편 예산삭감 문제를 가장 먼저 이슈화 시킨 이상민 의원의 경우 최초 보도자료 배포 이후 이에 대한 일체의 언급이 없는 상태이다.
선진당 역시 이 의원의 보도자료 배포 다음날 논평을 통해 예산 삭감에 대한 강한 비판을 했지만, 이후 삭감 논란에 대해서는 굳게 입을 닫은 채 강 위원장의 부지매입비 발언에 대해 시당위원장직을 사퇴하라고만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의원이 입을 닫은 것이나 선진당이 갑작스레 삭감 논란에 대해 입을 닫은 채 다른 이슈를 찾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것은 사실 확인 절차 없는 정치공세였다는 것을 스스로 자인한 꼴이라는 평가가 흘러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