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이유있는' 4년만의 지방선거 참패

충청권 광역단체장 선거 전승 4년 만에 전패  대선 연장전 선거지형 속 구태 답습이 패배 원인

2022-06-02     성희제 기자
더불어민주당

‘4년.’ 더불어민주당이 마셨던 ‘축배’가 ‘고배’가 되는데 걸린 시간이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대전·충청권을 모두 석권한 민주당은, 4년 뒤 6.1 지방선거에서 ‘완패’라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6.1 지방선거 앞 ‘현역 프리미엄’이라는 방패를 들고도 ‘맥’없이 패배한 민주당의 실패 원인을 짚어봤다.   

◆새정부 기대감, 현역 프리미엄 눌렀다

이번 지방선거는 새정부 출범 후 22일밖에 안된 시점에서 치러지며, 사실상 ‘대선의 연장전’의 성격을 띄었다. 대선 승리의 열기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선거지형’ 위에서 지방선거가 치러 지며 ‘기울어진 운동장’ 구도를 만들었다는 것.

이 때문에 정치권에선 윤석열 정부의 ‘컨벤션 효과’가 유권자 표심에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충청권을 파랗게 물들인 민주당이지만, ‘현역 프리미엄’하나 만으로 새정부 출범에 대한 국민의 기대감을 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정권심판론에 지방정부심판론 겹쳐 시너지 효과?

정치권에선 지방선거가 ‘대선의 연장선’으로 치러지며 정권심판 기류가 여전한 상황에서 선거가 치러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 정부의 부동산 실정, 물가정책 실패 등에 화가 난 민심이 사그러들지 않은 상황에서 선거가 치러졌다는 것.

엎친데 덮친 격으로 충청권에선 지방정부 심판 기류까지 겹치며, 정권심판론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는 분석이다.

일례로 대전지역 선거 쟁점으로 부상한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지연, ‘대전판 대장동’으로 불리는 도안 개발 등에 대한 반감이 정권심판과 맞물리며 민주당에게 패배를 안겼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180석의 독주’ 민주당 중앙당 민심 외면 

대선에서 졌지만, 인정하지 않는 모습 역시 민심의 이반을 불렀다는 분석이다. 최소 격차인 0.73%p의 근소한 차이로 졌다는 점에 안주해, ‘정신 승리’로 일관한 점이 오늘의 대패를 불렀다는 것.

민주당은 대선 패배 후 반성하는 모습보다는 진영의 가치에 충실하는 모습을 보였다. 민심보다는 당심에 올인하는 정치적 스탠스를 취한 것.

대표적인 예가 ‘검수완박’ 강행이다. 이와 함께 이재명 상임고문의 계양을 출마, 송영길 전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 등 역시 명분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청권 선거의 ‘단골 쟁점’이 돼 버린 성비위 문제 역시 민주당의 주요 패인이라는 분석이다. 

◆끊이지 않았던 공천 잡음

지방선거 후보 공천 과정 불거졌던 잡음 역시 민주당의 지지세를 꺽는 주요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후보 돌려막기’, ‘내사람 심기’ 등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며 정치혐오를 심화시켜, 유권자의 정치외면을 부채질 했다는 것.

일례로 대전 대덕구의 경우 청년 현역 시의원을 공천 배제했다가 공천자가 선거법 위반 의혹에 휩싸이자, 다시 공천하는 웃지못할 촌극을 연출했다. 이에 반발한 인사가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고 세가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같은 공천 참사는 대전지역 곳곳에서 진행되며, 민주당 후보 당선의 발목을 잡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