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김종민 의원 "대출금리 올린 시중은행, 임원들은 성과급 잔치"

지난 3년간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4곳 임원 성과급 1083억 원 지급

2022-08-03     김거수 기자
김종민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지난 3년간 4대 시중은행 임원들에게 지급된 성과급만 10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금융감독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시중은행 임원들은 지난 3년간 성과급으로 1083억 원을 수령했다.

올해의 4대 시중은행 임원 성과금액 규모도 작년과 비슷하거나,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 김 의원실의 설명이다.

지난 3년간 국내 4대 시중은행 임원중 성과급을 수령한 임원은 총 1,047명으로, 우리은행이 347.4억 원, 국민은행 299억 원, 신한은행 254억 원, 하나은행이 183억 원 순으로 수령했다.

성과급을 수령한 은행별 임원은, 우리은행이 455명, 신한은행 238명, 국민은행 218명, 하나은행 136명 순으로 나타났다.

임원 개개인별로 가장 높은 성과급을 받은 곳은 국민은행인 것으로 확인됐다. 2020년 국민은행 임원이 받은 성과급은 12억 원으로 4대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성과급을 수령했다.

같은 해인 2020년에는 우리은행 임원이 최대 6.1억 원의 성과금을, 하나은행 임원이 최대 5억 원을, 신한은행 임원이 최대 3.11억 원을 수령했다.

이처럼 임원 개개인이 받은 성과급은 국민은행이 다른 은행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해당 기간 4대 시중은행들이 취급했던 신규대출에 대한 금리는 점차 상승하고 있었다. 특히 상승폭이 가장 컸던 은행들은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었다.

국민은행은 2020년 가계 신용대출 고정금리가 3.27%에서 2022년 5월 4.72%로 상승했고, 2020년 신용대출 변동금리 2.75%에서 2022년 5월에는 5.33%까지 상승했다.

가계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도 2020년 1.84%에서 2022년 5월 기준 2.52%까지 상승했고, 변동금리도 2020년 2.50%에서 2022년 5월 기준 3.71%까지 상승했다.

우리은행은 2020년 가계신용대출 고정금리가 2.60%에서 2022년 5월 4.52%까지 상승, 변동금리는 2020년 2.51%에서 2022년 5월 기준 4.51%까지 상승했다.

가계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도 2020년 2.63%에서 2022년 5월 3.89%, 2020년 변동금리는 2.26%에서 2022년 5월 3.72%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민 국회의원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서민들은 이자상환도 어려운 상황에서, 시중은행들이 성과급 잔치를 했다는 사실에 깊은 유감”이라며, “연간 10억 원이 넘는 성과급이 국민적 눈높이에 맞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김종민 의원은 “연일 언론을 통해 금융권 실적이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한다”며,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예대금리차 해소를 위해 금융당국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국회에서도 관련 법률 및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