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차세대 양자 소재 물성 세계 최초 측정 성공

2022-08-23     이성현 기자
반데르발스결합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출연연·대학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차세대 양자 소재 물성을 이론적 예측 대신 직접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이차원 위상 자성체 물질의 스핀의존 전자구조를 넓은 에너지 영역에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차원 위상 자성체 물질은 미래 양자정보‧메모리소자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 물질이다. 자성체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좌우하는 전자의 스핀 정보를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

기존에는 전자의 스핀 정보는 아주 작은 에너지 영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측정 가능해, 상당 부분은 이론적 예측 연구에 의존해야 했다. 전자의 스핀 정보가 외부의 물리적‧화학적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해 작은 변화에도 쉽게 손실되기 때문이다.

이번 성과는 그동안 이론적 예측에 머물러 왔던 이차원 위상 자성체 물질의 고에너지 스핀의존 전자구조를 직접 측정한 전세계 첫 사례다.

연구팀은 스핀의존 전자터널링분광법을 이용해 이차원 위상 강자성체 물질인 Fe3GeTe2(FGT)의 고에너지 스핀의존 전자구조를 직접 측정하고, 이를 이론적 예측값과 비교, 분석해 정확성을 검증했다. FGT는 이차원 상태에서도 자성과 도체성을 띠는 양자위상 물질로 차세대 양자스핀 및 정보소자 구현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이차원 자성체의 스핀 물성 측정 및 분석 기술은 차세대 양자위상‧양자정보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 기술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또 실험에 사용된 무결점 반데르발스 결합 소자 구성은 양자 메모리, 확률적 변이 메모리 등의 차세대 스핀‧초전도 양자 소자에도 응용 가능하다.

KRISS 저차원소자물질연구팀 정수용 책임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국내 양자소재 전문가들이 결집해 달성한 쾌거”라며 “그간의 이론적 예측 연구에 응답할 수 있는 측정결과를 제시해, 차세대 양자소재 실용화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에 참여한 출연연 및 대학은 표준연을 비롯해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세종대, 포항공대, 서울대 등이다.